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 백악관에서 글로벌 제약사 대표들과의 비공개 회의를 갖고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지 않으면 의약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21일(현지시간) 블롬버그 통신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는 일라이릴리, 머크, 화이자 등 글로벌 주요 제약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게 해외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라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옮길 경우 관세를 면제해 주겠다고 협상 여지를 두었다. 이어 19일에는 관세 부과 시점을 4월 초에서 한 달 이내로 앞당길 수 있다고 재차 압박하며, 글로벌 제약사 대표들과의 만남에서 이 문제를 강하게 거론했다.

이번 발언에 따라 해외에서 의약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약사들은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일부 국내 제약사는 미국 현지 업체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제약사들은 이번 회동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 하의 약가 책정 프로그램 완화 방안을 논의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동의를 얻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가격에 관한 규제 완화나 중개상 규제 등의 방안에 대해서도 협상하지 않겠다고 밝혀 제약사들이 원하는 사항을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미국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처방약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약값 인하를 위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언급했다.

1기 행정부 시절부터 트럼프는 미국이 다른 국가들보다 비싼 약값을 지불하고 있다는 문제를 꾸준히 지적해 왔다. 이번 압박은 글로벌 제약사들에게 생산기지 이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한 트럼프의 정책 강화를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