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이 건조한 LNG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시운전 모습. [제공=HD한국조선해양]](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3045_665749_5018.jpg)
미국이 중국의 조선·해운 시장 장악을 견제하는 조치를 본격화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께 미·중 패권 경쟁이 다시 불붙으면서 국내 조선업체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커졌다.
25일 외신 및 업계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1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이 제공하는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대해 신규 수수료 부과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는 최대 100만 달러(한화 약 14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선박 용적물 기준으로는 톤당 최대 1000달러(약 144만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담겼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 당시 낸 보고서에서 USTR은 "중국이 세계 조선·해운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 불공정한 수단을 동원해 왔으며, 이는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의 조치로 중국 선박의 운송 비용이 상승하면 한국과 일본 조선업체들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중국 주요 조선·해운사를 중국 군사기업 목록, 이른바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중국 최대 조선업체인 중국선박공업집단(CSSC)과 주요 조선소를 군사기업으로 지정하고, 중국 최대 해운사인 COSCO 역시 같은 리스트에 포함했다.
명단에 오르면 중국군과의 연관성을 들어 향후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또 해당 기업에 대한 재무부 제재 압박도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서방 선사들이 중국 업체와의 거래를 줄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이 연이어 중국 조선·해운 산업을 직접적으로 견제하는 조치를 내놓으면서 글로벌 선박 발주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글로벌 선박 수주의 71%(4920만 CGT)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7%, 일본은 5%에 그쳤다.
업계는 글로벌 선박 시장에서 중국의 집중도가 일부 희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독일 해운사 하팍로이드(Hapag-Lloyd)는 최근 한화오션과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 발주를 최종 조율 중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초 중국 양쯔강 조선과 체결했던 옵션 계약을 변경한 것으로, ‘탈중국’ 흐름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컨테이너선 및 탱커 시장에서 이같은 현상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기술적 난이도가 낮은 해당 선종들은 중국이 대부분을 장악해왔다. 중국 조선업의 핵심 경쟁력은 ‘저렴한 가격’이지만, 미국의 신규 수수료가 도입되면 이점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중국 조선소는 한국보다 약 20% 저렴한 가격에 선박을 공급하고 있다.
조선업계에서는 미국의 대중 제재가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달 컨퍼런스콜에서 "미국의 선박법(SHIPS Act) 제정과 중국 선사·조선소 블랙리스트 지정으로 한국 조선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변용진 iM증권 연구원은 "대형 선박을 중국에 발주했던 글로벌 선사들이 계약을 취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 조선소가 선가를 저렴하게 책정하더라도, 미국 입항 시 부과될 수수료가 더 클 수 있어 결국 한국 조선소로 발주가 몰릴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