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디앤아이한라, 美 LACP 비전 어워드 2년 연속 대상 

[출처=HL디앤아이한라 ]
[출처=HL디앤아이한라 ]

HL디앤아이한라는 자사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글로벌 마케팅 전문기관인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LACP)이 주관하는 2023·24 LACP 비전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HL디앤아이한라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국내 민간기업 중 대상을 수상한 곳은 HL디앤아이한라가 유일하다.

올해로 23주년을 맞은 ‘비전 어워드’는 LACP에서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커뮤니케이션 제작물 경연대회로, 매년 세계 각국의 기업 및 기관에서 발간하는 경영보고서, 연차보고서 등을 평가해 시상해오고 있다. 이번 대회는 20개국 1000여개 기업, 정부기관, 비영리단체 등이 참가했다.

HL디앤아이한라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표지 디자인, 정보 접근성, 재무정보 등 8개 심사 기준 중 7개 항목에서 만점을 받았다. 특히 평가 대상 글로벌 건설사 중 HL디앤아이한라가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전세계 출품작 가운데 LACP가 선정한 글로벌 톱 100 보고서(TOP 100 Reports Worldwide)와 기술성과 어워드(Technical Achievement Award)에도 각각 이름을 올렸다.

한편, HL디앤아이한라는 지난해 6월 ESG 평가 기관인 서스틴베스트에서 1248 평가기업 중 최고등급인 AA를 받았으며, 10월에는 한국 ESG기준원에서 실시한 ESG 평가에서 1066개 기업 중 건설사로 유일하게 ‘A+’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BS한양, 여수 ‘묘도 에코에너지 허브’ 조성 가속화

묘도 에코 에너지 허브 조감도[출처= BS한양]
묘도 에코 에너지 허브 조감도[출처= BS한양]

BS한양이 수소 ‘묘도(猫島) 에코에너지 허브’ 조성에 속도를 높이며, LNG 터미널에 이어 청정에너지 사업 밸류체인 구축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BS한양은 지난해 6월 전라남도의 기회발전특구 사업으로 지정된 여수 ‘묘도 에코 에너지 허브’에서 LNG 터미널을 기반으로 한 청정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LNG 터미널’은 연간 300만톤(t)의 대규모 LNG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청정수소 생산의 원료 공급기지 역할을 하며, BS한양은 여기에 더해 수소의 생산과 유통, 소비,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등으로 이어지는 ‘수소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BS한양이 전라남도, 여수시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묘도 수소 클러스터는 수소 생산의 원료인 LNG의 저장 및 공급이 가능한 LNG 터미널, 청정수소 수요처인 묘도 열병합발전소, 청정수소 생산 플랜트, 그리고 수소 생산 과정에서 포집된 CO₂를 매립지로 이송하는 액화 CO₂터미널을 포함한다. BS한양은 연간 최대 약 10만톤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수소 생산시설과 CO₂ 터미널 등 필수 인프라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글로벌 수소 및 CCS 기업들과 기술 및 투자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을 구하고 있다.

묘도 수소 클러스터에서는 수소 생산과정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액화, 저장하는 과정에서 LNG 터미널의 냉열을 활용할 수 있어 전력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국내외 추진 중인 액화CO₂터미널의 기본적인 모델로, 비용 측면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높다. 묘도는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라남도 수소특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는 등 정책적 지원까지 확보해,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할 전망이다.

BS한양의 수소 클러스터 조성, 청정에너지 사업 추진은 지난해 12월 묘도 열병합발전 사업이 산업부의 발전용량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한층 더 가속화되고 있다. 

최종 사업권 확보를 위한 심사가 진행중인 열병합발전소는 495메가와트(MW) 규모 최신의 고효율 발전설비를 채택해 연료 사용량을 줄이는 고효율 청정발전소로서, 수소 클러스터에 안정적으로 전력 및 열을 공급하게 된다. 열과 전기를 모두 생산하는 발전소로 최신의 고효율 발전설비를 채택함으로써 연료 사용량을 줄이고, 주연료인 LNG에 청정수소를 혼소하는 고효율 청정발전소로 운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