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바리셀라 수출용 제품. [제공=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바리셀라 수출용 제품. [제공=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자체 개발한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의 추가 수주에 성공하며 중남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UN 산하 범미보건기구(PAHO)로부터 2027년까지 스카이바리셀라 백신을 중남미 지역에 공급해 달라는 사전 통지를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PAHO 입찰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PAHO가 요구하는 물량만큼 제품이 공급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미 2022년 PAHO 입찰에서 첫 수주를 기록한 후 지난 3년간 안정적으로 백신을 공급하며 신뢰를 쌓아왔다. PAHO는 유니세프와 더불어 세계 최대 규모의 백신 구매 기관 중 하나로, WHO의 엄격한 사전적격평가(PQ)를 충족해야만 납품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스카이바리셀라는 2019년에 PQ 인증을 획득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

2018년 상용화된 이 백신은 만 12개월~12세 소아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시험에서 높은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증명했다. 생산 역시 GMP 기준을 충족하는 안동 L하우스에서 이루어져 품질과 공급 안정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번 추가 계약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중남미 지역 국제조달기구인 PAHO에 6년 연속으로 제품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회사는 동남아시아 등 다른 신흥시장으로도 진출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마켓리서치인텔렉트는 세계 수두백신 시장 규모가 연평균 약 6.3% 성장해 2031년 약 57억6000만 달러(약 8조3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예방접종 확대 정책과 국제기구의 역할 증대로 인해 신흥시장에서 백신 공급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스카이바리셀라 외에도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 장티푸스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해외 판로 개척에 나서고 있다. 또한 사노피와 공동 개발 중인 폐렴구균백신은 현재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임상 단계에 있으며, 이는 선진국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진선 SK바이오사이언스 마케팅&사업개발본부장은 “PAHO와의 협업은 우수한 제품력과 생산 역량 덕분”이라며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해외시장 개척에 더욱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