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3766_666560_1927.jpeg)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지난 2월 28일 공시된 신용평가에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와 부채비율 개선 등 많은 개선사항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지난달 28일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을 기존 'A3'에서 'A3-'로 낮췄다. 홈플러스의 수익성이 약화했으며 단기간에 유의미한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판단은 달랐다. 올해 1월31일 기준 부채비율과 직전 12개월 매출은 각각 462%와 7조462억원으로 이는 1년 전 대비 부채비율은 1506% 개선되고 매출은 2.8% 신장했다는 게 홈플러스 반박이다.
홈플러스는 그러면서 “신용등급이 낮아져 향후 단기자금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금일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며 이번 회생절차 신청이 사전예방적 차원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회생절차 신청과는 상관없이 홈플러스의 대형마트, 익스프레스, 온라인 채널 등 모든 영업은 전과 다름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금융채권 상환은 유예되지만, 협력업체와의 일반적인 상거래 채무는 회생절차에 따라 전액 변제된다. 임직원 급여도 정상적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홈플러스의 현금 흐름을 보여주는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지난 1월 31일 직전 12개월 기준 2374억원으로 지속적으로 플러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번 회생결정으로 금융채권 등이 유예돼 금융부담이 줄어들게 되면 향후 현금수지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홈플러스는 매출 대부분이 현금으로 이루어지는 유통업 특성 상 한 두 달 동안에만 약 1000억원의 잉여현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잔여 계약기간 동안의 모든 임차료를 계상한 리스부채를 제외하고 운영자금 차입을 포함한 홈플러스의 실제 금융부채는 2조원 정도다. 홈플러스는 4조7000억원이 넘는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회생계획이 확정되면 금융채권자들과의 조정도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0년 넘게 이어진 대형마트에 대한 불합리한 규제, 코로나 사태로 인한 구매채널의 온라인 이동, 쿠팡 및 C-커머스(중국계 이커머스) 등 대형 이커머스 업체의 급격한 성장 등 삼각 파고에도 3년 연속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영업 실적 개선에 전념하고 있다”면서 “신용등급이 하락함에 따라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잠재적 자금이슈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회생절차를 신청했으나 임직원, 노동조합, 주주 모두가 힘을 합쳐 슬기롭게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른 설' 효과…1월 유통업체 매출 11.7% 증가
- 홈플러스 노사, 임금 협약 잠정 합의…평균 1.2% 인상
- “신학기 특수 잡아라”…유통가 프로모션 ‘봇물’
-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3년만에 누적 고객수 1억2000만명 돌파
- [현장] “절체절명”…홈플러스 창립자가 본 ‘K-경영’ 현주소
- 쿠팡, ‘착한상점’ 중소상공인 누적 매출 3조원 돌파
- 법원,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개시 결정
- 메리츠 “홈플러스 담보채권 1.2조·담보가치는 5조…돈 떼일 일 없다”
- 메리츠 '1조 동아줄'도 역부족…대출 10개월만에 홈플러스 회생절차
- [대형마트 규제 대못①] ‘전통시장 활성화’ 외쳤지만…명분도 실리도 잃었다
- [대형마트 규제 대못②] 온라인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역차별”
- ‘회생 신청’ 홈플러스가 제2의 티메프?…“기우에 불과”
- "MBK, 오렌지 매각 성공은 신한 덕분...홈플러스선 바닥 드러낼 것"
- 엇갈린 사모펀드 행보…기습 백기 MBK vs 교보와 화해 어피니티
- MBK 홈플 먹튀 논란 증폭 "김병주 사재까지 갈 필요도 없어…3호펀드 7조 이익 꺼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