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자 정부와 서울시가 대응에 나섰다.

강남4구로 불리는 강남·서초·송파·강동과 마포·용산·성동 등 주요 지역 거래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합동 현장 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정부는 5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과 진현환 국토교통부 1차관 공동 주재로 기재부·국토부·금융위·서울시가 참석하는 '부동산 시장 및 공급 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정부가 부동산시장 상황 대응에 나선 것은 지난달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을 중심으로 치솟은 호가가 인근 지역으로 번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특히 마포·용산·성동 같은 강북 인기 주거지에 단기간 매수세가 몰리며 호가가 치솟고, 아파트값 오름폭이 커지고 있어 투기 세력에 대한 시장교란 행위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집값 띄우기 목적의 허위신고와 자금조달계획서 허위 제출을 막기 위해 이달 10일부터 6월까지 서울지역 주택 이상거래에 대한 집중 기획조사도 벌일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불법행위 정황이 확인되면 국세청·금융위·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