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 인수를 중단했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석달 만이다. 메리츠화재는 지난 13일 MG손보 매각 주관사인 예금보험공사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다시 돌려줬다고 밝혔다. [출처=챗GPT, EBN AI 그래픽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043_668054_3030.jpg)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 인수를 중단했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석달 만이다.
메리츠화재는 지난 13일 MG손보 매각 주관사인 예금보험공사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했다고 밝혔다. 2022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돼 예금보험공사가 매각 작업을 대행 중인 MG손보는 이로써 5번째 매각까지 실패했다.
앞서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MG손보지부는 고용 승계를 메리츠화재에 요청했지만 메리츠화재는 이번 주로 데드라인을 정해두고 전체 직원 10% 고용 승계와 비고용 위로금 250억원 등 협상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MG손보 측은 메리츠화재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포기를 요구했고, 실사 작업도 방해해 왔다.
메리츠화재 고위 관계자는 "규제와 과점적 대형사 지위 입지에서 시장 문제(MG손보 부실)를 대승적으로 포용해 일찌감치 충당금을 쌓아두고 최대한 주주 중심 경영을 하려고 했다"면서 "하지만 경영 자료실을 열어주지 않는 부실금융 MG손보를 수용해 무기한 기다릴 수만은 없었다"고 말했다.
시장 일부에서는 메리츠금융은 사모펀드 MBK가 최대주주인 홈플러스가 돌연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1조2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묶인 상태인 만큼 현재로선 가장 실리적인 주주 가치 실현을 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한다.
자본시장에서는 홈플러스 기업회생까지는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휩싸인 MB손보 인수 논의를 정리하지 않으면 잇단 겹악재에 기업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는 부담을 느낀 것으로 파악된다.
![[출처=메리츠화재]](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5043_668055_3520.png)
이에 메리츠화재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하겠다는 입장을 공문으로 통보하면서 매각 작업은 종결됐다. MG손보의 매도자인 예보(Seller)와 원매자 메리츠화재(Buyer)가 테이블에 마주 앉아 진지하게 협상 하지도 못하고 거래 논의가 종결된 것이다.
결렬된 논의에 금융당국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한 후 이미 약 3년이 넘은 상황이고, 매각절차가 지연되면서 MG손보의 건전성 지표는 보험사 최악으로 곤경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한 당국자는 "메리츠금융으로선 당장 직면한 홈플러스 대출금 상환에 신경을 써야하는 만큼 절실하지 않는 MG손보 인수에 매달릴 이유가 없다. 그 기회비용을 좀 더 주주 친화적인 방향으로 쓰겠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메리츠금융 고위임원은 "MG손보 자산인수가 주주가치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했다"고 밝혔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 관리자인 예금보험공사도 MG손보 처리 방법을 놓고 고심 중이다. 사실상 MG손보에 대한 선택지는 제한적이다. 예보 측은 "청산 가능성과 청산 방향을 논의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예보는 메리츠화재의 결정 직후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계획"이라는 내용의 입장문을 내놨다.
금융당국과 예보는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2022년 4월 결정한 이후 이미 약 3년이 지났으며 매각절차가 지연되면서 MG손보의 건전성 지표 등 경영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돼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에서 MG손보의 독자생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정부는 이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단 예보는 새로운 인수 희망자를 찾는 시장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시장의 시각이다. 이후 청산과 파산을 논의해야 한다.
앞서 예보는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포기하면 추가 공개 매각, 청·파산, 가교 보험사 계약 이전 등 세 가지 정리 대안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 향후 추가 매수 희망자를 찾는 것은 불확실하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가교회사는 2012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 때 예보가 활용하고 라임펀드 사태 때 남은 자산을 관리하는 방식으로도 썼다.
청산절차에 들어서면 예금자보호법 보호 한도(5000만원)를 초과하는 금액을 보험계약자에 줄 수 없게 돤다. 이 때문에 124만여 명의 피해가 우려되는 데 이르면 청산 작업이 내달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메리츠금융은 MG손보 자산·부채(P&A) 이전을 진지하고 고민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전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 자본까지 확충한 바 있다. 이 결과 메리츠화재 지난해말 킥스(KICS) 비율은 248%를 기록했다.
- 금감원, 홈플 관련 신영증권·신평사 2곳 검사…MBK 조사도 검토
- 이복현 "상법개정안 '재의요구건 행사' 직을 걸고 반대"
- 이복현 금감원장 “주주권익 보호는 국가적 과제”
- [포토]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하고 차단하세요"…신한은행 간담회 개최
- MBK 홈플 먹튀 논란 증폭 "김병주 사재까지 갈 필요도 없어…3호펀드 7조 이익 꺼내라"
- 엇갈린 사모펀드 행보…기습 백기 MBK vs 교보와 화해 어피니티
- 강요하지 않는 보험영업…메리츠서 3개월간 500만원 '부업'
- 메리츠의 힘…조정호 회장 국내 주식부자 1위 등극
- 메리츠 '1조 동아줄'도 역부족…대출 10개월만에 홈플러스 회생절차
- 메리츠 “홈플러스 담보채권 1.2조·담보가치는 5조…돈 떼일 일 없다”
- 정부, 홈플러스 기업회생 점검회의…은행권 지원 방안 마련
- 홈플러스 증권 발행 급증…신용등급 강등前 유동성 최대화?
- "MBK 이정도였나"…돈·LP만 챙기다 'PEF 생태계 망쳤다'
- [기자수첩] MG손보 사태로 본 '계약자·노조·주주·금융당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