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경제가 작년에 비해 악화됐다고 생각하며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상승(71.9%)으로 조사됐다. 또 국민 10명 중 6명(64.2%)은 내년에도 가계경제 상황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가계경제 상황이 1년 전에 비해 '악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71.5%에 달한 반면, '개선되었다'는 28.5%에 불과했다.

1년 전을 100으로 했을 때 현재의 가계경제 상황이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30%~20% 악화의 응답비중이 26.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10%~0% 악화(응답비중 23.2%) △20%~10% 악화(21.5%) △0%~10% 개선(18.5%) △10%~20% 개선(5.8%) △20%~30% 개선(2.9%) 등의 순이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이를 평균할 경우 국민들의 가계경제 상황은 지난해에 비해 7.7% 정도 악화된 것으로 인식됐다.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상승'이라는 응답이 7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부채 증가(2.7%) △교육비 부담(1.7%) △의료비 부담(1.4%) △주거비 부담 (0.7%) △기타(0.2%)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부문은 '식료품 및 외식비'라는 응답이 72.0%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금융 이자 비용(2.5%) 등이 뒤를 이었다. 대다수 국민들은 먹거리 분야의 물가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가장 부담이 되는 지출항목은 '식료품 및 외식비'라는 응답이 5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에너지 비용(13.6%) △주거비(8.2%) △금융 이자 비용(7.3%) △의료비(6.0%) △교육비(5.1%) 등이 뒤를 이어 물가부담과 부분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일자리 안정성(또는 사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에 달했다. 반면 '안정적이다'라는 응답은 26.5%에 그쳤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0.4%의 비중을 보였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내년도 가계경제 전망…64.2% '악화될 것'

1년 후 가계경제 상황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는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64.2%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35.8%에 불과했다.

현재를 100으로 했을 때 향후 1년 후 가계경제 상황이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10%~0%' 악화의 응답비중이 25.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0%~10% 개선(응답비중 24.1%) △20%~10% 악화(20.9%) △30%~20% 악화(17.9%) 등의 순을 나타냈다. 이를 평균해보면, 내년도 국민들의 가계경제 상황은 올해에 비해 5.2% 정도 악화될 것으로 인식됐다.

1년 후 소득전망을 묻는 질문에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52.1%,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47.9%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소득이 0%~10%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37.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10%~0% 감소(응답비중 24.5%) △20%~10% 감소(14.7%) △30%~20% 감소(12.8%) 등의 순이었다. 구간별 응답을 평균하면, 1년 후 가계소득은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1년 후 지출전망에 대해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4.2%로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45.8%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출이 '0%~10%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28.0%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0% 감소(응답비중 19.7%) △10%~20% 증가(19.3%) △20%~10% 감소(15.5%) 등으로 나타났다. 구간별 응답을 평균하면, 1년 후 가계지출은 0.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들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물가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생필품 가격 안정화 조치(58.4%)를 꼽았다. 이어서 △에너지 가격 안정 조치(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등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이 2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계부채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증가 요인(주거비·교육비 ·의료비) 해소 정책 강화가 4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시행(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13.0%) △대출규제 강화(8.5%) 등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투자와 고용확대를 유도하고, 특히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