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DB]](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9185_672894_3239.jpg)
"바다에 마지막으로 걸어보는 희망이 낙월 해상풍력 사업인데 LS전선 때문에 사업이 진척이 안된다는거에요. 제 눈에는 훼방을 위한 훼방으로 밖에 안 보여요."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한 주민은 LS전선의 행태가 이해되지 않는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인구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해 굴비의 고장이던 영광군에서도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7~8년 전만 해도 연간 입항금액이 7800억원에 달했지만 현재는 당시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이 지역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다보니 오랜 기간 방치된 어선도 많아졌다. 그나마 젊은 세대마저 줄어든 어획량에 바다를 등지고 살길을 찾아나서면서 갯벌 위로 겨우 형체만 드러낸 어선도 흔하게 볼 수 있다.
5년여전 영광 낙월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한다고 할 때만 해도 어민들은 불안감을 먼저 내세웠다. 사업을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해당 지역 어민들이 가진 오해를 풀고 우려를 해소하는 게 우선순위였다.
해상풍력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면서 기존 결성됐던 반대 대책위는 피해 대책위로 이름을 바꾸고 사업자 측과 피해조사협약서를 체결했다. 피해보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전남대와 용역계약도 맺었다.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에게는 입출항, 면세유 기록 등을 근거로 맞춤형 보상이 이뤄졌다. 용역 조사결과에 따라 2억원 가까운 보상을 받는 주민도 나타났다.
생업을 바꾸거나 부모로부터 선박 소유권만 물려받았을 뿐 어업에 종사한 적 없는 주민에게도 화합 차원에서 최소지급액 대비 80~85%에 해당하는 보상이 이뤄졌다. 실제 어업 종사자는 전체 어민의 40% 수준인 200명 안팎이지만 이보다 더 많은 주민에게 보상이 이뤄진 이유다.
주민들은 법성포를 중심으로 한 영광군에서 어업은 점점 더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항만을 통해 들어오는 조기도 영광군보다 다른 지역에서 들어오는 물량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어업에 종사하면서 기대할 수 있는 수입은 계속 줄어들고 나이는 늘어만 가는 상황에서 이미 황혼에 접어든 주민들에게 해상풍력은 남은 여생을 기댈 수 있는 희망이 되고 있다. 사업자 측은 해상풍력 단지 완공 이후 '주민참여제'를 통해 이익을 나누기로 했다. 정부 조례에서는 총 사업비의 4%를 주민참여제에 할당하도록 하고 있다. 지급 금액은 어민과 간접적 피해, 케이블 경유지 등에 따라 순위가 정해진다.
주민참여제를 통해 어민은 20년간 매달 20만~30만원 정도의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 계획대로라면 내년 하반기부터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LS전선과의 갈등으로 낙월 해상풍력 단지는 총 64기의 풍력발전기 중 단 한 기도 설치되지 못했다. 사업자 측은 올해 말까지 몇 기라도 상업발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나 불투명하다.
이런 상황에서 LS전선이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 정부기관 뿐 아니라 지자체까지 찾아다니며 낙월 해상풍력 사업의 불법성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들의 불만은 더 고조되고 있다.
한 지역 주민은 "얼마 전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 관계자라는 사람이 변호사와 함께 군청을 찾았는데 군청 관계자한테 LS 명함을 내밀었다고 한다"며 "군청 관계자는 특정 기업 명함을 들고 방문해 다른 민간기업을 비방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말과 함께 돌려보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낙월 해상풍력 사업이 사업자만을 위한 것은 아니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익을 따지면 해상풍력으로 가야 하고 주민참여제 등을 통해 어민이 투자자가 된다는 점에서 5년여간 기대감도 점차 높아져갔다.
해상풍력에 대한 이해도와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LS전선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은 커지고 있다. 낙월 해상풍력에 대한 LS전선의 행태는 국가와 기업, 어민들의 손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어민은 "내 부친이 보름 전 돌아가셨는데 그동안 변변한 용돈도 드리지 못했다는 죄송함만 앞서고 있다"며 "남들이 보기에 크진 않아도 낙월 해상풍력에 기대하는 어민들이 많은데 현재 상황은 답답하기만 할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