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악수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268_677644_592.jpg)
미국발(發) 조선산업 특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037년까지 최대 448척 '발주'가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조선산업 재건을 국정 아젠다로 채택하며, 한국 조선업계에 대규모 수주 기회가 열리고 있다.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부상한 해양 전략 구상은 동맹국과의 조선산업 협력을 실용적 대안으로 부각시켰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오는 2037년까지 상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을 포함해 총 403∼448척에 달하는 선박을 발주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 내 조선 능력의 한계를 감안할 때, 실질적으로 상당량의 발주가 동맹국으로 향할 수 있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은 단순한 산업 부흥이 아니다. 전략적 해양 패권 강화의 일환이다. 중국의 해양굴기에 대응해 미국은 파나마 운하와 북극항로 등 해상 요충지 확보를 공공연히 천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와 그린란드를 확보하기 위해 군사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강경 기조를 분명히 했다. 이러한 지정학적 구상은 군함뿐 아니라 민간 상선의 확충을 필수조건으로 만든다.
현실은 녹록지 않다. 미국 조선업계는 수십 년간 인프라 노후화, 고비용 구조, 인력난에 시달려 왔다. 미국에서 선박을 건조할 경우, 동일 선형 대비 4~5배의 비용이 들고 건조 기간도 대폭 늘어난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하면서도 조선 기술력을 보유한 동맹국과의 협력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을 잘하는 국가에 최첨단 선박을 발주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오른족)이 미국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 지난 16일 만나 한·미간 조선산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출처=HD현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268_677646_17.jpg)
국내 조선업계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HD현대는 미국 해군 보급체계사령부와의 정비협약 체결로 MRO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디지털 트윈, 전동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정비 능력을 바탕으로 미국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와 군함 공동개발, 기술인력 양성 등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보다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현지 생산거점을 확보했고,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호의 정비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데 이어, 현재 7함대 소속 급유함 ‘유콘’호의 정비사업도 진행 중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류민철 교수는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인력과 공급망 기반 확보, 생산성 제고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미 정부의 정책이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양국 간 지속적인 정책 협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