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외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현재 25% 수준의 수입관세를 50%로 인상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오는 6월 4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외곽에 위치한 US스틸 공장에서 진행된 연설에서 "이는 미국 철강 산업을 더욱 탄탄하게(secure) 할 것"이라며 관세 인상 방침을 공식화했다.

그는 "기존의 25% 관세는 허점이 있었지만, 이 조치(50%로 인상)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후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소셜'에도 관련 입장을 직접 올리며,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동일하게 50%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건과 연계된 행보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해당 인수에 대해 사실상 승인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날 연설을 통해 "오늘 우리는 역사적인 미국 기업(US스틸)이 미국 업체로 남아있을 것을 보장하는 '블록버스터 협약'을 축하하기 위해 모였다"며 "US스틸은 위대한 도시 피츠버그에 본사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투자로 인해 미국 내에서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이 중 10만 개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해고나 아웃소싱은 전혀 없을 것이며, US스틸 노동자는 곧 5천 달러의 보너스를 받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한국 철강업계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철강 수출액 가운데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 수준이다.

미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미국에 약 29억 달러 규모의 철강을 수출했으며, 이는 캐나다(23%), 멕시코(11%), 브라질(9%)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이번 관세 인상으로 인해 철강 수출 가격 경쟁력 저하는 물론, 물량 감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철강업계는 이미 25%의 관세로 인해 일정 수준의 수출 부담을 감내해온 상황에서, 이번 50% 인상 조치로 더 큰 충격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