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출처=연합]
이재명 대통령 [출처=연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며, 통상 압박과 산업 위기 속에 놓인 철강산업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와 중국산 저가 공세라는 이중 악재 속에서 정부의 산업외교·무역 전략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산업은 윤석열 탄핵에 따른 리더십 공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본격화된 보호무역 기조에 직면하며 복합적 위기를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사의 대미 수출 물량 277만 톤, 수출액 35억 달러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이는 물량 기준으로 전체 철강 수출의 9.8%, 금액 기준 12.4%에 해당한다. 관세 인상으로 인해 한국 철강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외곽에 위치한 US스틸 공장에서 오는 4일부터 철강 관세를 50%로 상향하겠다는 방침을 직접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들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급 협상 채널을 가동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리더십 부재 속에 뚜렷한 통상 전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고위급 협상의 부재로 타격이 심화되자, 국내 철강사들은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 8조 5000억원을 투입해 전기로 제철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포스코도 공동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외 직접투자가 국내 일자리 축소와 산업 기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여기에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무차별적 유입도 국내 철강사에 이중 부담을 주고 있다. 정부가 일부 품목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방어에 나섰지만,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밀리는 구조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시장은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와 저렴한 중국산 철강재 범람 등의 상황은 기업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의 외교적 협상과 지원,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