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LNG 연료탱크 탑재 초대형 컨테이너선 [출처=한화오션]
한화오션 LNG 연료탱크 탑재 초대형 컨테이너선 [출처=한화오션]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글로벌 선박 수주 실적에서 2위를 기록했다. 수주량은 중국에 밀렸지만,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수주로 질적 경쟁력을 높였다.

5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5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총 166만CGT(71척)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460만CGT) 대비 64%, 전년 동기(366만CGT) 대비 55% 각각 감소한 수치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64만CGT(42척)를 수주하며 점유율 39%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5만CGT(8척)를 수주해 점유율 15%로 2위에 올랐다.

올해 1~5월 누적 수주량은 전 세계적으로 1592만CGT(515척)로, 지난해 같은 기간(2918만CGT, 1242척) 대비 45% 줄었다. 이 중 한국은 381만CGT(95척)를 수주해 점유율 24%를 기록했고, 중국은 786만CGT(274척)로 점유율 49%를 차지했다.

5월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1억6344만CGT로, 전월 대비 123만CGT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9639만CGT(점유율 59%)로 가장 많고, 한국은 3630만CGT(22%)로 뒤를 이었다.

신조선 가격은 보합세를 이어갔다. 5월 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86.69로, 4월(187.11)보다 0.4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전년 동기(186.42) 대비 0.14%, 2020년 5월(127.32)과 비교하면 약 47% 오른 수준이다.

선종별 신조선 가격은 LNG 운반선이 척당 2억55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은 1억2500만 달러, 2만2000TEU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2억7350만 달러 수준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