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노동자.[출처=연합뉴스]
건설 노동자.[출처=연합뉴스]

올해 1분기 건설현장에서 대형 사고가 잇따르면서 건설업이 광업에 이어 두 번째로 사고사망자 비율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자 현황'에 따르면, 올 1분기 건설업의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수)은 0.43퍼밀리아드(만분율 기준, 이하 동일 단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산업 평균(0.10퍼밀리아드)의 4배를 넘는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광업(1.13)이 가장 높았고 △건설업(0.43) △운수·창고·통신업(0.25) △임업(0.20)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0.12) 순이었다. 

제조업은 0.10으로 산업 평균과 같았으며, 금융·보험업 등 일부 업종은 사고사망만인율이 0.00으로 가장 안전한 업종으로 조사됐다.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은 2021년 1분기 0.56에서 2023년 1분기 0.40까지 점차 감소했으나, 지난해와 올해 1분기에는 0.43으로 반등하며 개선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연구원은 "지난 2월 부산 기장군 건설현장 화재(사망 6명), 경기 안성시 서울-세종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사망 4명) 등 대형사고가 사고사망만인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건설업의 질병 사망자 수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1분기 기준 질병사망자는 55명으로, 전년(39명) 대비 1.4배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상적으로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질병 사망자 비율이 낮지만, 올해는 예외적으로 질병사망만인율이 0.24를 기록하며 광업(107.1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