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LG]
[출처=LG]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LG디스플레이가 17일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조(兆) 단위 대규모 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이번 투자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국내 제조업 경쟁력 회복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 지에 재계 관심이 쏠린다.

LG디스플레이는 총 1조2600억 원 규모의 설비 투자를 공식 발표했다. 이 중 약 7000억 원은 경기도 파주사업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파주 공장은 대형·중형·소형 OLED를 모두 생산하는 첨단 산업 단지로, LG디스플레이 OLED 사업의 핵심 거점이다.

이번 투자는 중국 광저우 LCD 공장 매각 자금을 국내에 재투자하는 일종의 '리쇼어링(reshoring)' 사례다. 특히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된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한 LCD와 달리 자체 발광으로 화질·두께·소비전력 등에서 우수하며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특성 덕분에 다양한 폼팩터 구현이 가능하다.

업계는 이번 투자를 통해 LG디스플레이가 중국 등 후발주자의 추격을 따돌리고,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과의 동반 성장을 통한 산업 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투자를 통해 세계 최대 97인치 OLED TV용 패널부터 27인치 게이밍 모니터, 태블릿용 IT 패널,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용 소형 패널까지 OLED 전 라인업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철동 사장은 "지난 해 반전의 기반을 만들었다면, 올해는 도약하는 해가 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 하겠다"며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화 기술과 제품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번 LG디스플레이의 발표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대기업들도 조만간 대규모 투자 계획을 잇따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100조 원 규모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투자와 맞물려 AI 중심의 투자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SK브로드밴드 가산 IDC에 구축된 AI 데이터센터의 모습. [출처=SKT]
SK브로드밴드 가산 IDC에 구축된 AI 데이터센터의 모습. [출처=SKT]

SK그룹은 세계 1위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 규모의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수조 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민관 협력사업으로, 이달 중 출범식을 거쳐 오는 8월 기공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6만 장의 GPU가 투입되는 국내 최대 규모로, 2029년 2월까지 103MW 규모로 완공된다. SK그룹은 이를 통해 AI, 첨단 반도체, 에너지 솔루션 등 전략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13~14일 열린 경영전략회의에서도 AI 중심의 그룹 차원 성장 전략이 핵심 아젠다로 다뤄졌다.

현대차그룹 역시 지난 3월 대미 투자 발표에 이어, 올해 국내에서 연구개발(R&D), 경상 투자, 전략투자 등에 총 24조3,00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이날부터 주요 경영진과 해외 법인장들이 참석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하반기 사업 방향을 모색 중이다.

대형 인수·합병(M&A)을 본격화한 가운데, 이르면 조만간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놓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에도 복합 위기 속에 사상 최대 규모의 시설 및 R&D 투자를 이어간 바 있는 만큼, 올해 역시 공격적 투자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