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150_682164_5649.jpg)
올해 1∼5월 서울에서 거래된 빌라 전세 4건 중 1건은 '역전세'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2023년과 2024년 1∼5월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중 동일 주소지와 면적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총 7547건 중 24.6%(1857건)가 최초 계약 당시보다 보증금이 낮아진 역전세 거래였다.
역전세는 전세 시세 하락으로 인해 신규 계약 보증금이 이전 계약보다 낮아진 경우를 의미한다. 임대인은 세입자에게 돌려줘야 할 보증금을 온전히 확보하지 못해 반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역전세 평균 보증금 하락액은 423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는 강서구의 전세 보증금이 지난해 평균 1억9044만원에서 올해 1억8548만원으로 497만원 하락하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어 금천구(-436만원), 구로구(-269만원), 강북구(-225만원), 도봉구(-208만원), 양천구(-146만원) 순으로 보증금이 하락했다.
반면, 성동구(4.8%), 용산구(4.6%), 송파·종로구(3.1%), 마포구(2.9%) 등 19개 자치구는 전세 보증금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전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 역시 강서구(54%)로, 절반이 넘는 전세 거래가 역전세였다. 이어 금천(45%), 구로(43%), 도봉(42%), 양천(39%), 은평(33%), 강북(3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역전세 비율이 20% 미만인 지역은 광진·서초(18%), 마포(16%), 성동·송파(15%), 용산(7%) 등 6곳뿐이었다.
서울 전체 역전세 비율은 전년 동기(46%) 대비 21.4%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세 시장의 구조적 불안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방 관계자는 "지역에 따라 역전세 비중이나 전세가 하락 폭에 차이가 있는 만큼 향후 전세 시장 흐름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