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

서울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30%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R114가 서울 25개 자치구 내 아파트 1006만 가구(임대 제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은 45.2%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저 수준으로, 2017년 1월 이후 가장 낮다.

강남권 주요 지역의 전세가율은 특히 낮았다. 서초구는 37.1%, 송파구는 38.4%, 강남구는 39.1%로 모두 30%대에 머물렀다. 용산구도 40.9%로 네 번째로 낮았으며, 양천구(44.2%), 영등포구(45.6%), 강동구(46.3%), 성동구(46.4%) 등도 절반을 밑돌았다.

반면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금천구로, 60.9%를 기록했다. 성북구와 중랑구는 각각 59.5%였고, 강북구(58.3%), 관악구(57.8%)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의 전세가율은 2017년 초 70%대를 기록한 이후 매매가격 상승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며, 2018년 5월 50%대로 떨어진 뒤 40~50%대를 오가고 있다.

특히 강남 3구의 전세가율은 올해 들어 더욱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강남구의 전세가율은 1월 대비 2.8%포인트, 송파구는 2.7%포인트, 서초구는 2.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전세가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매매가격 상승폭이 크다는 의미로, '갭투자' 여건도 갈수록 어렵게 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