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대기업 계열사들이 자사주 규모를 확대한 반면 소각 비율은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리더스인덱스]
국내 주요 대기업 계열사들이 자사주 규모를 확대한 반면 소각 비율은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리더스인덱스]

국내 주요 대기업 계열사들이 최근 3년간 자사주를 꾸준히 매입하면서 보유 규모를 확대했지만 실제로 소각까지 진행한 비율은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스인덱스가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비교 가능한 상장사 2265곳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은 1666곳으로 전체의 73.6%에 달했다. 그러나 이 중 자사주를 실제로 소각한 기업은 142곳으로 8.5%에 그쳤다.

특히 자산 규모 상위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 64곳 중 62곳(96.9%)이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자사주가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들 핵심 계열사의 평균 자사주 지분율은 4.7%로 전체 상장사 평균치인 3.3%를 웃돌았다. 이들이 보유한 자사주의 총 가치는 지난해 말 기준 34조9658억원으로 전체 상장사 자사주 가치의 절반 이상(54.2%)을 차지했다.

평균 자사주 소각률은 2024년 기준 10.1%로 2022년(1.3%)보다는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자사주 보유 비중이 최근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영풍그룹으로 고려아연이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자사주 비율을 0%에서 12.3%로 대폭 확대했다. 영풍은 지주사격으로 자사주를 6.6% 보유하고 있다.

신세계그룹도 지주사인 ㈜신세계의 자사주 보유율이 2022년 0.1%에서 2024년 10.9%로 크게 늘었다. 셀트리온(2.1%→5.5%), ㈜LG(1.4%→3.9%), 미래에셋증권(23.7%→24.9%) 등도 같은 기간 자사주 비중을 확대했다.

50대 그룹 핵심 계열사 중 자사주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롯데지주로 보유율이 32.5%에 달했다. 이어 태영그룹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29.8%), 미래에셋생명(26.3%), 미래에셋증권(24.9%), SK㈜(24.8%) 순으로 높았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