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관계자가 철강 공정 작업을 하고 있다. [출처=포스코]
 포스코 관계자가 철강 공정 작업을 하고 있다. [출처=포스코]

국내 철강업계가 하반기 반등에 대한 기대가 크다.

2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반등 기대감은 중국의 철강 감산 본격화와 한국 정부의 반덤핑 조치가 시장 수급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

여기에 철강 생산량 조절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적정 생산규모 설정 작업까지 더해지며, 철강기업들의 실적 회복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철강 감산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산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연간 5000만 톤 규모의 철강 감산을 예고했다.

실제 감산 움직임은 5월부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5월 생산량은 전년 대비 6.9% 감소한 8655만 톤으로 집계됐으며, 1~5월 누적 생산량 역시 전년 대비 1.7% 줄어든 4억 3163만 톤을 기록했다.

중국은 전 세계 철강 생산의 55%를 차지하는 절대적 생산국이다. 하지만 경제 불황과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 속에 과잉 생산 문제는 국제 시장의 구조적 불균형을 초래해 왔다.

이로 인해 중국산 철강재는 현지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해외 시장에 대량 수출됐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 철강업계의 경영 압박을 가중시켜 왔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에 수입된 중국산 철강재는 877만 톤으로,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들 제품은 국내 유통 가격보다 20~30% 저렴하게 거래되며 국내 업체들을 압박했다. 중국 철강 감산에 대한 국내 철강 기업들의 기대감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 가운데 한국 정부의 반덤핑 조치가 가시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중국산 합금강 열간압연 후판에 최대 38.02%의 반덤핑 잠정 관세를 부과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이 조치 이후 올해 5월까지 수입된 후판 물량은 63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나 줄었다. 이와 함께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추가 반덤핑 조사가 진행 중이며, 오는 7월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다.

국내에서도 공급 조절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 18일 철강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형강, 철근 등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적정 생산 규모 설정에 착수했다.

이는 가격 하락과 경쟁력 저하를 막고, 내수와 수출의 균형을 반영한 중장기 생산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 철강기업들이 직면한 경영 불확실성은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범람, 수요 부진, 전기요금 인상, 고환율,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됐다"며, "중국의 감산 정책과 반덤핑 관세 부과가 모든 문제를 해결하긴 어렵지만, 정상적인 가격 회복 가능성이라는 점에서 시장에 긍정적 신호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