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
▶ ⓒ금융위원회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 장기 연체채권을 한꺼번에 매입해 소각하는 '배드뱅크' 재원 절반을 전 금융권이 함께 부담하는 쪽으로 논의되고 있다. 소각 대상 채권의 상당규모를 2금융권이 보유하고 있는 점이 고려됐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배드뱅크 소요 재원 8000억원 중 4000억원을 은행권을 비롯해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금융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전 금융권을 통해 조달하기로 했다.

자산과 이익 규모가 큰 은행권이 상당 액수를 부담할 것으로 보이지만 2금융권도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참여하는 방향으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앞서 그간 은행권에선 2금융권의 부실 여신을 은행 출연금으로 소각하는 것이 형평성에 맞지 않다면서 2금융권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은행권은 그간 소각 대상이 되는 연체채권을 자체적으로 상당 부분 상·매각했거나 대손충당금을 쌓아놓은 측면도 있다.

금융당국은 오는 9월까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산하에 채무조정기구를 설립해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할 계획인데, 이 과정에서 구체적인 배분 방식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배드뱅크는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 장기연체채권을 일괄 매입·소각하는 정책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113만4000명의 장기 연체채권 16조4000억원이 소각 또는 채무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