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출처=EBN]
한국거래소. [출처=EBN]

2026년부터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전체 상장기업이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의무를 지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9일 제13차 회의에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개정안을 의결하고, 현행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코스피 상장기업에 한정됐던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의무 공시 대상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제도는 상장기업이 G20/OECD 기업지배구조 원칙, ESG기준원 모범규준 등을 바탕으로 마련된 핵심원칙(10개)과 세부원칙(28개) 준수 여부를 공개하고, 미준수 시 그 사유를 설명하는 방식(Comply or Explain)으로 운영된다. 해당 제도는 2017년 자율공시로 처음 도입된 이후 2019년부터는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의무화됐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돼 왔다.

이번 개정안이 시행되면 의무공시 대상 기업은 2024년 말 기준 541개사에서 842개사로 증가하게 된다. 금융위는 기업의 자율적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시 이행을 돕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상장회사협의회는 사전 준비사항 안내, 1:1 컨설팅, 실무자 및 임원 교육, 지역별 설명회와 워크숍을 운영할 예정이다. 오는 9월에는 대구, 부산, 광주, 대전에서 지역별 설명회를 진행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거래소 등과 협력해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는 한편, 관련 법령 및 가이드라인도 지속적으로 보완해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내실있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