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AI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보여주는 모습 [출처=연합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2065_687960_5534.jpg)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AI 인프라와 모델, 기술 표준 등을 동맹국에 수출하겠다는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AI 패권 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기존의 반도체 수출 제한을 통한 중국 견제 전략에서 벗어나, 아예 AI 생태계에서 중국을 고립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소버린 AI'를 외치며 독자 노선을 강화하고 있는 한국의 대응이 시험대에 올랐다.
현재 미국은 AI 학습의 핵심 인프라인 GPU를 비롯해 서버, 소프트웨어, AI 모델까지 포함한 'AI 풀스택(full-stack)' 수출 패키지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패키지를 통해 동맹국들에게 자국산 AI 생태계를 받아들이도록 압박할 가능성이 크며, 향후 관세 협상 등 통상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AI 학습에서 GPU 중심 구조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미국의 통상 압박이 큰 의미를 갖지 않지만, 추론 및 온디바이스 AI 등에서 NPU 기반 기술이 부상하고 AI 응용 서비스가 중시되는 국면으로 전환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 정책적 지원을 받아 성장 중인 AI 반도체 생태계가 미국의 보조금 규제에 저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정부가 주도하는 '국가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SKT, KT, 트릴리온랩스 등은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AI 모델을 개발했다며 기술 자립성을 강조하고 있다. 프롬 스크래치는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학습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과도한 '프롬 스크래치' 강조가 오히려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오픈소스 기반 AI 모델을 활용하되, 자체 확장과 고도화 과정을 통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전략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의 보고서도 오픈소스 AI 확산이 국내 스타트업에 기술 격차를 줄일 기회를 제공한다고 분석하면서, 미국 중심의 AI 플랫폼 구조에 편입되면 한국은 하위 애플리케이션 공급자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통합 전략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며, 향후 AI 산업 정책의 방향성과 국제 협력 구도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