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워홈 구지은 부회장(사진)이 지난 2014년 10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아워홈 구지은 부회장(사진)이 지난 2014년 10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이 자신과 경영권 분쟁을 벌였던 구본성 전 부회장의 배임 혐의 재판과 관련해 아워홈 현 경영진과 한화 측이 재판부에 제출한 '처벌불원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구 전 부회장은 7일 개인 SNS를 통해 "기업 경영에 책임져야 할 이들이 사적인 이익을 위해 서로의 죄를 덮어주고, 회사가 입은 재산상 손해를 보전받을 기회까지 포기한 행태"라며 "이는 명백한 배임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권한이 클수록 모범을 보여야 함에도, 회삿돈을 사적으로 유용하고 그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서로 뜻을 맞추는 일이 21세기에도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 참담하다"고 짚었다.

앞서 구본성 전 부회장은 아워홈 대표이사 재직 당시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7억 원 상당의 상품권을 회삿돈으로 구입해 사적으로 유용하고 실적과 무관하게 약 54억 원 규모의 과도한 성과급을 수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에서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됐으며 검찰과 피고인 측 모두 항소해 오는 8월 22일 2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검찰이 특정한 배임 규모는 약 31억 원 수준이다.

구 전 부회장은 "비상장사라 하더라도 선대회장님의 투명경영 정신과 회사의 명예가 이번 일로 훼손될 위기에 놓였다"며 "오는 22일 판결에서 주주, 임직원, 회사 전체의 미래를 위해 정의롭고 엄정한 판단이 내려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피해자인 아워홈이 가해자에 대해 처벌불원서를 제출함으로써 법원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데 있다. 처벌불원서는 피해자가 가해자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공식 문서로 재판 결과에 일부 참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아워홈 측은 "구본성 전 부회장이 과다 지급된 성과급을 반환하고 횡령 피해 금액을 공탁함으로써 회사가 입은 경제적 손실이 모두 복구됐다"며 "손실 복구와는 별개로 재판은 계속되고 있고, 법적 처벌 여부는 전적으로 재판부 판단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난 2021년 언니 구미현·구명진 씨와 손잡고 경영권 분쟁에서 승리해 대표이사에 올랐으나 2024년 6월 구미현 씨가 다시 구본성 전 부회장 측에 힘을 실으며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구본성·구미현 남매가 보유 지분 58.62%를 한화호텔앤드리조트에 매각하면서 아워홈의 경영권은 한화로 넘어갔다.

현재 구지은 전 부회장과 구명진 씨는 각각 20.67%, 19.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한화 측 입장에서는 지분구조 상 부담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화 측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이들의 지분율을 희석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