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이 되지 않은 15개 점포를 순차 폐점하기로 한 결정은 금융당국과 무관했다고 밝혔다. 챗GPT 생성 이미지.[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5533_692011_046.jpg)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이 되지 않은 15개 점포를 순차 폐점하기로 한 결정은 금융당국과 무관했다고 밝혔다. 또 홈플러스의 인수·합병(M&A) 성사가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로부터 홈플러스 M&A 진행 상황에 관해 질문 받았다. 김 위원장은 이에 "전체적으로 원매자들이 많은 상황이 구성되기는 좀 어렵겠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은 홈플러스가 내년 5월까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기로 한 결정에 공적 개입이 필요한 것이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점포 매각하지 마라' 이렇게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점포 매각 등의 결정은 홈플러스와 법원 간의 회생 절차 과정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그러면서 홈플러스 노동자나 입점 업체의 피해를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은 찾아보겠다"면서 "다만 현재 법원에서 M&A를 통해 정상화하자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누군가 인수를 해 정상화로 가는 방법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에는 검찰의 수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면서 "감독 당국의 조치가 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또 사모펀드 규제 도입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유동성이 나빠지면서 지난 3월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으며 이후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 인가전 M&A 허가를 받아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대주주 자구 노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에서는 홈플러스가 임대료 협상에 실패한 점포 정리는 결국 회생 절차를 위한 구조조정으로 봤다. 다만 노동자와 입점업체의 일자리 및 사업 피해가 따라올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