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취임식 사진 [출처=금융감독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취임식 사진 [출처=금융감독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이번 주 은행권 간담회를 시작으로 금융권과 첫 만남을 시작한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생산적 금융 전환과 상생금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현재 이 원장이 내놓을 첫 메시지에 금융권이 주시하고 있다. 

24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원장은 28일 은행장 간담회를 시작으로 다음 달 1일 보험업권, 4일 저축은행업권, 8일 금융투자업권 등과 간담회를 통해 금융권 업계 현안을 청취할 예정이다.

이후에도 9월 둘째주 중 빅테크, 여전업계 간담회 등이 계획돼 있다. 

이번 간담회는 신임 원장 취임 이후 상견례 차원에서 마련됐지만, 금감원 안팎과 금융권에서는 이 원장의 성향과 정책 기조 등을 확인할 첫 자리라며 긴장감을 보이고 있다.

전임 이복현 원장은 취임 직후 첫 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대출금리 인하를 압박한 바 있다. 

이에 반해 이찬진 원장의 대화식 문재해결 방식에 대해 기대를 보이는 쪽도 있다. 

카드사 한 관계자는 "신임 원장이 스스로 토론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소개한 만큼 합리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28일부터 이어지는 간담회에서는 전반적으로 소비자 보호에 대한 당부와 생산적 금융 역할을 강화하는 주문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이 원장은 지난 14일 취임사를 통해 "모험자본 공급 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금융권의 소비자보호 실태에 모니터링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필요시 감독·검사 기능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보험업권에도 소비자 보호·생산적 금융 역할 강화와 함께 서민·고령층 맞춤 보장상품, 보험료 부담 완화, 사회공헌 확대 등 상생 금융 역할에 당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과의 간담회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자산 건전성 등이 추가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취임사에서도 "지난 정부 아래 부동산 PF대출이 부실화됐다"며 "PF 잔존 부실을 조속히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증권사와의 자리에서는 모험자본 투자와 발행어음 인가 관련 논의가, 카드사와의 자리에서는 신기술금융 사업과 스테이블 코인 관련 논의가 있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