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며 함께 웃고 있다. [출처=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며 함께 웃고 있다. [출처=연합]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정상회담이 종료된 가운데,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을 매료시키려는 이 대통령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고 평가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며 "그런 상황에서 비즈니스를 할 수 없다"고 글을 올려 긴장감이 돌았다.

하지만 회담에 나선 이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해명하며 분위기를 주도했고, 공개 회담은 화기애애하게 진행됐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고 위협했지만, 이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 리모델링과 평화 중재 노력 등을 칭찬해 분위기를 바꿨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중 ‘습격’ 사건을 추궁했지만, 이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오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며 "이 대통령의 설득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경고가 따뜻한 환영으로 전환됐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시글로 적대적 회담이 우려됐지만, 이 대통령의 칭찬 공세로 사라졌다"며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와의 과거 회담 경험에서 교훈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BBC 역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이 올해 초 경험한 긴장된 상황과 달리, 이 대통령은 그런 운명을 피했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2월), 라마포사 대통령(5월) 방문 때처럼 연극적인 대치 장면을 피했다"며 "골프와 집무실 인테리어, 평화 중재 능력을 칭찬하는 익숙한 전략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달랬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전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한국 관련 SNS 글에 대해 "새 정부가 교회에 대한 압수수색을 했다고 들었다. 미군기지에 들어가 정보 수집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어 사실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공개 회담에서 "한국은 친위 쿠데타 혼란을 극복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내란 상황은 국회가 임명한 특별검사에 의해 조사 중"이라며 "미군 역시 직접 수사한 것이 아니라 기지 내부 한국군 통제 시스템 작동을 확인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