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본사. [출처=뉴스1]](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6195_692782_4522.jpg)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인수 과정과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해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를 받는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취임 이후 첫 대규모 현장 조사라는 점에서 향후 감독 기조와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7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에 있는 MBK파트너스 본사에 조사 인력을 투입해 현장 점검을 벌였다. 이는 지난 3월 검사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착수된 조사다.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가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차입으로 자금을 마련했다는 지적에 따라, 펀드 출자자(LP) 모집 절차와 차입매수(LBO) 방식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번보다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홈플러스가 투자자를 기망해 단기 사채를 발행한 혐의를 포착해 검찰에 통보한 바 있다. 그러나 수사 진척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홈플러스가 최근 15개 점포 폐점을 공식화하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졌고, 이에 금융당국이 다시 움직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새 정부 출범 후 홈플러스 사태와 MBK파트너스의 경영 방식을 본격적으로 다시 들여다보는 첫 사례다. 이재명 정부는 불공정거래 척결과 금융소비자 보호를 주요 국정 과제로 제시했으며, 의무공개매수제 도입 등 사모펀드 규제 강화 정책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MBK파트너스의 사례는 향후 사모펀드 규제 정책 집행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되고 있다.
이번 추가 조사는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체제에서 진행된 첫 대규모 현장 검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원장은 취임 당시부터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강조하며 필요 시 감독·검사 권한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혀왔다.
특히 그는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MBK파트너스 투자를 비판하며 "(국민연금이) MBK파트너스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가입자에 대한 배임 행위"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국민연금의 투자 적정성 역시 이번 조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에서 MBK파트너스의 추가 위규 사항이 확인되는 즉시 제재에 나설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논란이 커진 상황을 인식하고 있다"며 "가급적 신속히 검토해 제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새로운 혐의가 드러날 경우 MBK파트너스에 대한 조치가 중징계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