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리는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출처=EBN]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리는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출처=EBN]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을 향해 "더 이상 손쉬운 이자장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메시지를 반복했다. 담보·보증 위주의 대출 영업을 비판하면서 소비자 보호와 내부통제 강화 없이는 금융산업의 지속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개 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은 리스크가 낮은 담보와 보증상품에 치중해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집중하고 있다는 사회적 비판을 받고 있다”며 “이제는 AI 등 미래 성장산업으로 자금이 흘러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ELS 불완전판매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피해 사례는 다시는 없어야 한다”며 은행권에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체계 구축을 요구했다.

이어 “은행은 국민이 재산을 맡기는 금고인데 자물쇠가 깨진 금고에 누가 돈을 맡기겠느냐”며 재발하는 금융사고를 질타했다.

내부통제 강화와 관련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단지 비용을 줄이겠다고 허술한 자물쇠가 달린 금고를 쓰는 것은 국민의 믿음을 저버리는 일”이라며 “개인정보 유출, 직원 횡령과 같은 사고는 은행 신뢰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린다”고 경고했다.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선 “부동산 경기 편승 이자수익 전략이 가계부채와 집값 상승을 부추겨 악순환을 심화시켰다”고 꼬집었다. 은행이 상환능력 중심 심사와 총량관리에 더욱 철저히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성장과 안정, 산업과 소비자, 혁신과 신뢰가 맞물려 돌아갈 때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며 “금감원은 원칙을 엄정히 지키되 시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동반자적 감독기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