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는 15개 점포 폐점과 관련해 "근로자와 입점주의 생계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생존 경영"이라고 밝혔다. [출처=연합]
홈플러스는 15개 점포 폐점과 관련해 "근로자와 입점주의 생계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생존 경영"이라고 밝혔다. [출처=연합]

홈플러스가 과도한 임대료 부담을 이유로 15개 임대 점포의 순차적 폐점에 돌입한다. 회사 측은 이번 결정이 “10만 명에 달하는 근로자와 입점주의 생계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생존 경영”이라고 강조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5개월 동안 전국 68개 임대 점포 임대주들과 임대료 조정 협상을 진행해왔다. 이 과정에서 50여 개 점포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임대료를 조정하는 성과를 거뒀지만, 나머지 15개 점포는 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했다.

해당 점포들은 대부분 대형마트 호황기였던 10~15년 전 계약이 체결되면서 당시 높은 매출을 기준으로 임대료가 책정됐다. 현재는 매출 구조가 크게 달라졌음에도 임대료가 여전히 과도하게 유지되고 있어 대규모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이들 점포의 연간 영업손실만 약 800억 원에 달해 회생에 큰 부담이 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최근 법원의 회생 절차 개시에 따라 인가 전 M&A를 통한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이번 순차적 폐점 결정은 회생 기반을 확보하고, 인가 전 M&A를 흔들림 없이 진행하기 위한 절박한 조치”라며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밝혔다.

폐점 점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 대해서는 고용을 100%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인근 점포로 전환 배치하고, 소정의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한다. 또한 입점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폐점 일정과 보상 방안을 투명하게 안내하고 협의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15개 점포의 정확한 폐점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입점주들과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이번 결정으로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회생을 반드시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10만 명의 삶의 터전인 홈플러스를 지켜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