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5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부스를 살피고 있다. [출처=LG전자]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5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부스를 살피고 있다. [출처=LG전자]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25'에서 전장(VS) 및 냉난방공조(ES) 사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조 사장은 이들 사업을 '쌍두마차'로 지칭하며, B2B, 비하드웨어, 구독, 소비자 직접 판매(D2C) 등 4대 신성장 사업을 통해 LG전자의 질적 성장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조 사장은 "질적 성장 영역이 전사 매출의 50%, 영업이익의 80%에 육박하고 있다"고 밝히며, 회사의 체질이 B2B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실제로 VS사업본부와 ES사업본부는 올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LG전자의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전장 사업에 대해 조 사장은 "전장만 바라보면 웃음이 난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에서 7~8%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LG마그나와 램프 사업도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냉난방공조 사업 역시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른 데이터센터 냉각 수요 급증으로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북미 지역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데이터센터에도 냉각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조 사장은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칠러와 냉각 솔루션을 모두 공급하게 되면 수주액이 조 단위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조 사장은 중국 업체의 거센 추격을 받는 TV 사업에 대해서는 "TV 사업은 어렵다. 한국 업체가 다 어렵다"고 인정하면서도 "웹OS 플랫폼 서비스 강화와 신흥 시장 공략으로 활로를 찾겠다"고 밝혔다. 또한 AI 시대에 스마트폰 사업 부재가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에는 "TV, 가전, 자동차(전장)를 합치면 연간 출하량이 1억 대, 누적 3억~4억 대는 된다"며 "(경쟁사와의) 게임은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