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귀환이 반가운 현실임은 분명하지만 한국 관광산업이 ‘중국 쇼핑 관광’에 다시 의존할지, 아니면 다변화된 글로벌 체제로 도약할지는 앞으로의 대응 전략에 달려 있다.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8041_694904_1634.png)
오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약 9개월간 중국 단체관광객 무사증(무비자) 입국이 허용되면서 국내 관광산업이 모처럼 활기를 띨 전망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실상 끊겼던 ‘유커(遊客)’ 물결이 다시 밀려올 가능성이 커지자 음식·숙박·면세업계는 물론 지방 관광지까지 반색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단기 특수에 대한 기대가 지나치게 부풀려질 경우 과거 사드(THAAD) 보복 당시처럼 특정국 의존 리스크가 재현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10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이번 유커 귀환은 ‘관광 특수’와 ‘의존 리스크’라는 상반된 시각이 공존하면서 한국 관광산업이 구조적 체질 개선을 이룰 수 있을지를 시험하는 분수령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전담 여행사를 통해 모집된 3인 이상 중국 단체객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를 통해 입국한 단체객은 15일간 국내 전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으며, 제주도는 기존처럼 30일간 무사증으로 개별·단체 관광이 모두 가능하다.
정부는 이를 통해 방한 수요 확대와 더불어 GDP 성장률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각도의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한국 관광시장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해왔다. 지난해 전체 외국인 관광객 1637만명 중 약 28%인 460만명이 중국인이었다. 정부는 올해 536만명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지난 2019년(602만명)에 근접한 수준이다.
한국은행도 중국 단체관광객 100만명 증가 시 GDP가 0.08%포인트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여행·면세업계는 단기적인 수요 확대를 반기고 있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중국 단체관광 회복세가 더뎠는데 무비자 시행은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단체여행 경험이 긍정적으로 쌓이면 향후 개별여행객(FIT)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면세업계 관계자도 “대규모 단체객은 매출의 직결 요인”이라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매출 반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2017년 사드 갈등 당시 중국 정부가 단체관광을 전면 금지하면서 방한 관광객 수는 급감했고, 특히 면세점 매출은 반 토막 났다. 업계는 이 경험을 중국 의존 구조의 취약성이 고스란히 드러난 사건으로 기억한다.
이번 무비자 조치 역시 단기적 매출 확대에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중국 관광객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또 다른 리스크를 낳을 수 있다는 경고다.
또 다른 여행업계 관계자는 “단체객이 몰려드는 현상 자체는 반가운 일이지만, 지나친 쏠림은 언제든 외부 변수에 휘둘릴 수 있는 구조를 다시 만드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업계가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관광산업 체질 개선이다. 단체객 유입에만 기대기보다 국가별 관광객 다변화, 개별 자유여행객(FIT) 확대, K-컬처·웰니스·체험형 관광 프로그램 강화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관광객 수 확대만으로는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중국 중장년층의 프리미엄 소비 패턴을 겨냥하고, 지역 관광 자원을 발굴·다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면세업계 관계자도 “대규모 저가 단체보다 소규모 고소득층을 겨냥한 전략이 중요하다”며 “차별화된 상품 기획과 온·오프라인 프로모션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무비자 조치는 단순히 관광객 수 증가 차원을 넘어 한국 관광산업의 향후 방향성을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단기 호재에만 기대다가는 같은 실수를 반복할 수 있다”며 “이번 기회를 관광산업의 양적 회복과 질적 성장을 동시에 달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