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바. [출처=연합]
골드바. [출처=연합]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에서도 금 관련 투자상품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은 처음으로 1조2000억원을 넘어섰고, 골드바 판매액은 올해 들어 이미 지난해 연간 판매액의 두 배를 돌파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11일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236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1조1393억원) 대비 불과 11일 만에 974억원 늘었고, 올해 들어서는 4545억원 증가했다.

골드뱅킹은 통장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상품으로, 2023년까지 5000억~6000억원대 수준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증세를 보였다. 올해 3월에는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고, 이달 들어 다시 1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국제 금값 상승이 투자 열기를 키웠다. 현물 기준 국제 금 가격은 최근 온스당 36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내 KRX 금시장에서도 지난 12일 1㎏짜리 금 현물이 g당 16만5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말보다 29.1% 오른 수준이다. 지난 9일에는 16만7740원까지 오르며 2월 고점(16만8500원)에 근접했다. 

골드바 판매액 증가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이달 1~11일 골드바 판매액은 373억1700만원으로, 이미 8월 전체 판매액(373억7500만원)에 맞먹는다. 이 추세라면 2월 기록적 판매액(882억9300만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 올해 누적 판매액은 3628억원으로, 작년 연간 판매액(1654억원)의 2.2배 수준이다.

금과 달리 규모는 작지만 은 투자도 눈에 띄게 늘었다. 4대 은행의 실버바 판매액은 8월 10억5900만원으로 처음 월 10억원을 돌파했고, 이달 들어서도 11일간 7억5100만원이 팔렸다. 올해 누적 판매액은 49억8100만원으로 지난해 전체(8억원)의 6.2배에 달한다.

신한은행이 판매하는 실버뱅킹 상품 ‘실버리슈’ 잔액도 11일 기준 810억원으로 처음 800억원대를 넘어섰다. 은 역시 안전자산 성격이 부각되면서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