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외국인을 고용 중인 중소기업 대부분이 내국인 인력 부족 때문에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 4.5일제 도입 논의와 맞물려 납기 지연과 비용 부담 우려도 제기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6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 중인 50인 이상 사업체 503곳을 대상으로 지난 7월 진행한 ‘2025년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주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 기업 중 93.8%(472곳)는 외국인 채용 이유로 '국내 근로자 채용이 어렵기 때문'을 꼽았다. ‘인건비 절감’(2.6%), ‘생산성 향상’(1.2%), ‘기술·경험 인력 확보’(0.2%)를 이유로 든 경우는 소수에 불과했다.

향후 외국인 근로자 고용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98.2%(492곳)가 ‘유지 또는 확대’를 답했으며,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8%(9곳)에 그쳤다. 채용 확대를 계획한 기업은 평균 6.5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추가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선호 국적과 관련해서는 60.8%가 ‘기존 활용 근로자와 동일 국적’을 꼽아 안정성과 숙련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 4.5일제 도입에 따른 영향을 묻는 질문에서는 42.1%(212곳)가 ‘납기 준수가 어렵다’고 답했고, 24.1%(121곳)는 ‘인건비 부담과 비용 상승’을 예상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안정적 운영으로 인력수급이 적시에 이뤄지길 바란다"며 "주 4.5일제 도입 논의에 앞서 업종·규모별 특성과 현장의 목소리가 고려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