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아 외국인 근로자의 인권과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출처=농진청]
농림축산식품부가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아 외국인 근로자의 인권과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출처=농진청]

농림축산식품부가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아 외국인 근로자의 인권과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안정적인 인력 공급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박수진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8일 충남 홍성군의 공공형·농가형 계절근로자 숙소와 작업현장을 방문해 수확기 인력 수급 상황과 외국인 근로자의 근무환경을 직접 확인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계절근로자 배정 인원은 8만6633명이며 7월 말 기준 5만4986명이 도입됐다. 여기에 고용허가제를 통해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 3만4321명을 합하면 총 8만9307명이 농업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6만9464명보다 28.5% 늘어난 수치다.

최근 농업 현장에서 산업재해와 인권 침해 사례가 잇따르자 농식품부는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폭염 시에는 근무시간을 오전 5시부터 정오까지로 조정토록 하고, 온열질환 예방 물품을 보급했다.

또한 2026년 2월 15일부터 시행되는 '농어업 고용인력 지원 특별법' 개정을 통해 계절근로자에 대한 부당한 차별 금지, 표준 근로계약서 사용, 임금체불보증보험과 농업인 안전보험 가입 의무화, 귀국 전 금품관계 청산 등 인권 보호 조치를 대폭 강화한다.

주거 환경 개선도 추진 중이다. 농식품부는 2022년부터 외국인 근로자 기숙사 건립을 지원해 현재까지 30개소를 선정했고, 이 가운데 9개소가 운영 중이다. 내년에도 5개소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며, 지자체 공모는 오는 9월 29일까지 진행된다.

박수진 실장은 "수확기 일손 부족을 막기 위해 법무부와 협력해 내·외국 인력을 충분히 공급하고, 농협 및 체험마을 유휴시설 리모델링을 통해 공공 기숙사 확충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며 "특히 수확작업 중 넘어짐(31.5%), 떨어짐(21.3%) 사고가 많은 만큼 사다리 점검과 미끄럼 방지화 착용 등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