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9831_697010_3552.jpg)
국내 상장사들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 시행 시 소각해야 할 주식 규모가 72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국내 R&D 상위 1000개 기업의 투자액(83조6000억원)과 맞먹는 수준으로, 기업 재무와 투자 여력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24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상장기업 자기주식 운용 실태와 제도 변화의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들이 강제로 소각해야 하는 자사주 가치는 약 71조7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상장사 보유 전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52.1%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6월 말 공시된 자사주 수량에서 최근 소각·처분 물량과 임직원 보상분, 자연 감소분을 제외하고, 주당 가치는 지난달 말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자사주 소각을 포함한 ‘3차 상법 개정안’을 논의 중이다. 그간 기업들은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 채무 상환, R&D,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목적의 재원으로 활용해 왔다. 현행 법안대로 1년 내 소각이 의무화되면 기업은 자금 조달의 마지막 수단을 상실하게 된다.
상장회사협의회에 의하면 전체 상장사의 71.5%가 자사주를 보유 중이며, 기업 한 곳당 보유 비중은 전체 주식 대비 평균 4.5%다. 유가증권시장 대형사 중심으로는 이 비율이 2019년 5.4%에서 지난해 5.8%로 증가했다. 상장회사협의회는 이번 보고서를 최종 자문을 거쳐 조만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