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가 점포 매각, 임대 전환, 수익성 악화 등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출처=연합]
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가 점포 매각, 임대 전환, 수익성 악화 등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출처=연합]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밟으면서 책임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인수 이후 이어진 점포 매각, 임대 전환, 수익성 악화 등 여러 비판이 제기되자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적극 해명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선 근본적 체질 개선 없이는 위기 극복이 어렵다는 지적 잇따르고 있다.

26일 시민단체와 노동계는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경영보다는 부동산 매각에 치중해 왔다고 비판했다. 특히 인수 금융 상환을 위해 점포를 매각한 뒤 재임대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임대료 부담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는 얘기다.

이 같은 지적에 홈플러스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새로 임대로 전환된 점포는 14개뿐이다. 오히려 48개 매장은 인수 이전 대형마트 호황기에 계약돼 당시 과도하게 책정된 임대료가 지금까지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해 왔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최근 3년간 매출이 6조6000억원(2022년), 6조9000억원(2023년), 6조9900억원(2024년) 등으로 증가했다면서 대형마트 업황 악화에도 경쟁력을 지켜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 축소 속에서도 ‘메가푸드마켓’ 론칭과 온라인 직송·즉시배송 도입으로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실제 온라인 부문 매출은 지난해 1조5000억원을 넘기면서 전체 매출의 22%를 차지했다.

그러나 업계 시선은 냉담하다. 지속적인 점포 축소와 소비자 이탈, 고금리 환경 속 투자여력 제한이 겹치면서 성장세가 구조적 한계에 부딪혔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폐점과 관련한 고용 불안 역시 뚜렷한 갈등 요인이다.

노조와 입점 업주들은 “폐점 과정에서 고용안정과 보상 문제가 불투명하다”고 비판해왔다. 이에 홈플러스는 “비정규직 1만4000여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했고 자산유동화 점포 직원은 전원 인근 점포 재배치로 고용을 보장해왔다”며 반박했다. 입점 업주 원상복구 비용 부담 논란에 대해서도 “부과하지 않기로 하고 합의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홈플러스 상환전환우선주(RCPS)와 관련해서도 잡음이 일고 있다. 국민연금은 5826억원을 투자해 절반 이상은 회수했지만, 미회수 원금 2696억원이 남아 있다. 더 큰 문제는 MBK파트너스가 인가 전 인수합병(M&A) 성사를 위해 2조5000억원 규모의 보통주를 무상 소각하기로 결정하면서 국민연금의 보통주 투자금 295억원이 전액 손실 처리되는 점이다.

MBK파트너스는 다른 투자 성과로 전체 펀드 수익률은 여전히 원금 대비 2배 이상이라고 설명했지만, 국민연금 투자 손실은 여론 악화 요인으로 꼽힌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를 신청한 이후 M&A 성사 여부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자산 매각, 임대료 부담, 소비자 이탈, 투자자 불신이라는 다중의 난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만큼 회생 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제시하는 ‘매출 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장 체감은 여전히 냉랭하다”며 “단순한 해명보다는 근본적인 사업 모델 혁신과 신뢰 회복이 없다면 회생 성공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