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추이 [출처=대한상의]
대한상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추이 [출처=대한상의]

대미 관세 부담이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체감경기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 업종은 물론 화장품과 제약처럼 수출 효자 품목으로 꼽히던 업종까지 흔들리며 업계 전반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8일 전국 제조기업 227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 지수는 74로 집계됐다. 전분기보다 7포인트, 전년 동기보다 11포인트 낮아진 수치로 2021년 3분기 이후 17분기 연속 기준치(100) 아래에 머물렀다. 올해 들어 두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던 흐름이 꺾인 것으로 특히 수출기업의 전망이 크게 나빠지면서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업종별로는 자동차가 60으로 떨어져 일본과 유럽보다 높은 대미 관세율 부담이 반영됐고, 철강 역시 63에 그치면서 50%에 달하는 관세와 건설경기 부진이 동시에 작용했다.

석유화학과 비금속광물 업종도 공급과잉과 내수 위축으로 각각 63과 56을 기록했다. 반면 2분기까지만 해도 호조세를 보이던 화장품은 미국의 소액소포 면세 폐지에 따른 수출 위축으로 69까지 내려앉았다. 제약·바이오 업종 역시 의약품 고율 관세 예고의 불확실성 속에 87로 떨어졌다.

이 가운데 반도체와 식품은 각각 98로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반도체는 AI와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가 뒷받침됐고 식품은 명절 특수와 K-푸드 수출 호조가 버팀목이 됐다.

지역별로도 상황은 비슷하다. 대구는 자동차 부품과 섬유 산업의 관세 부담으로 60에 머물렀고, 경북은 철강과 전자 업종 비중이 커 68에 그쳤다. 부산 역시 금속과 기계 업종의 침체로 66을 기록했다. 석유화학 단지가 몰린 전남은 60, 충남과 울산은 각각 71과 74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건설경기 부진 여파가 컸던 강원은 65로 전분기 대비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조선업 경쟁 심화가 이어진 경남도 78로 기준치를 밑돌았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부진한 내수를 수출 회복세가 뒷받침해 왔지만 미국의 관세 부담이 현실화되면서 중소 협력업체의 경영 여건까지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가 긴급 유동성 공급과 규제 완화, 투자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대외 충격을 완화하는 방파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