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식에 참석한 LG전자 조주완 CEO [출처=LG전자 ]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식에 참석한 LG전자 조주완 CEO [출처=LG전자 ]

LG전자가 세계 최대 인구대국 인도에서 국민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LG전자 인도법인(LG Electronics India Limited)이 인도 증권시장에 공식 상장하며 '인도 경제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파트너' 비전 실현에 나선 것이다. 상장을 계기로 현지화·생산·R&D·사회공헌을 아우르는 '메이크 인디아(Make in India)' 전략을 전면 가동한다는 복안이다.

■인도 증시 상장…공모가 기준 기업가치 12조 원

LG전자는 현지시간 14일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인도법인 상장 기념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인장, 송대현 인도법인 이사회 의장 등 주요 경영진과 현지 투자자·애널리스트가 참석했다. 조 CEO와 아쉬쉬 차우한(Ashish Chauhan) NSE CEO는 오전 10시 개장과 함께 상장 기념 타종식을 진행했다.

LG전자는 이번 상장을 통해 인도법인 발행주식의 15%인 1억 181만 5859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다. 공모가는 밴드 최상단인 주당 1140루피(한화 약 1만8000원)로 확정됐다. 청약에는 인도 IPO 역사상 2008년 이후 최대 규모의 자금이 몰려 경쟁률이 54배에 달했다. 이에 따라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가치는 공모가 기준 12조 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현금 1.8조 원 확보…"재무건전성 한층 강화"

이번 상장을 통해 LG전자는 인도 자본시장에서 약 1.8조 원의 현금을 조달했다. 해당 자금은 차입금비율이나 금융비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액 현금으로 유입돼 재무건전성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LG전자는 확보한 자금을 미래 성장 투자에 폭넓게 활용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기업가치·주주가치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조 CEO는 "이번 상장은 인도가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에서 중추적 거점으로 도약하는 계기"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의 동반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Make India"…인도와 함께 성장하는 비전 제시

LG전자가 이번 상장을 통해 제시한 인도 비전의 핵심은 '3대 축'으로 요약된다. 구체적으로는 △Make for India(인도를 위해) △Make in India(인도에서) △Make India Global(인도를 세계로)이다.

'Make for India'는 인도 고객의 생활 패턴과 문화에 맞춘 현지형 제품 확대 전략이다. LG전자는 인도 소비자 1000여 명 인터뷰를 기반으로 '인도 특화 가전'을 기획했다. 모기퇴치 에어컨, 사리(Saree) 세탁 모드가 탑재된 세탁기, 수질·수압을 고려한 UV 정수기 등 현지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이 대표적이다.

'Make in India'는 인도 정부의 제조 육성정책과 맞물린다. LG전자는 기존 노이다, 푸네 공장에 이어 6억 달러를 투입해 스리시티 지역에 신공장을 건설 중이다. 스리시티 공장이 완공되면 인도 내 연간 생산능력은 냉장고 360만 대, 세탁기 375만 대, 에어컨 470만 대, 컴프레서 200만 대, TV 200만 대로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 약 2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길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하고 있다. 

또 벵갈루루 SW연구소를 AI·SoC·플랫폼 중심의 R&D 거점으로 육성하며, 노이다에도 제품연구소를 두고 현지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Make India Global'은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핵심으로 세워 신흥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지경학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도를 중심축으로 한 ‘신흥시장 네트워크’가 LG전자의 차세대 성장 기반이 될 전망이다.

■인도 고객 위한 '국민가전' 첫 공개

이번에 공개된 인도 맞춤형 가전은 현지 환경과 문화, 구매력을 모두 고려해 설계됐다. 화려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인도 고객을 위해 꽃무늬 패턴을 적용했고, 가격대별 세분화로 접근성을 높였다.

LG전자는 내달부터 냉장고·세탁기·에어컨·마이크로오븐 등 4종의 특화 가전을 순차 출시한다. 모든 제품은 노이다와 푸네 현지 공장에서 생산된다.

■사회공헌 강화…"현지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

LG전자 인도법인은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기업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LG전자는 인도 진출 이후 단순 이윤 추구를 넘어 현지 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다.

LG전자는 글로벌 경영평가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로부터 2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지역사회와 미래세대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LG 희망기술학교 △라이프스굿 영양식단 △대국민 헌혈 캠페인이 있다. 희망기술학교는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전자·IT 수리 기술을 무상 교육하고, 영양식단 캠페인은 인도 800여 개 공립학교 학생 6만여 명에게 식사를 지원한다. 헌혈 캠페인은 2019년부터 인도 전역에서 전개 중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번 상장은 인도 시장에서 LG전자가 진정한 현지 기업으로 거듭나는 출발점"이라며 "현지화 전략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강화해 인도 경제 성장과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