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994_699491_5311.png)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렸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직원 퇴사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들어 이런 현상이 한층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인력 충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공공주택 공급 정상화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LH 퇴직자는 2022년 510명에서 2023년 459명으로 잠시 줄었다가 지난해 619명으로 1년 새 35% 급증했다.
올해는 8월 말 기준 이미 200명이 퇴사해 지난해 같은 기간(172명)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퇴사자 10명 중 6명 이상이 근속 10년 이하의 젊은 직원층으로, 130명에 달하는 핵심 중견 인력이 조직을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현장의 업무 공백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반면 인력 충원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양새다. LH는 2022년 기획재정부에 인력 716명 증원을 요청했지만 단 1명도 승인받지 못했다. 2023년에는 기재부의 ‘공공기관 혁신계획’에 따라 증원 절차가 전면 중단됐다.
지난해에는 요청 인원 728명 중 103명(14%)만, 올해는 827명 중 216명(26%)만 승인돼 인력 확보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LH는 앞으로 직접 주택을 건설·공급하는 ‘직접시행’ 방식을 확대해야 하는 만큼, 사업 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퇴사자는 증가하고 인력 충원은 지연돼 업무 부담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임대주택 사업의 적자 누적과 공공개발 확대까지 겹치며, 현 인력 규모로는 공공주택 공급 목표를 정상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정재 의원은 “퇴사자는 늘고 충원은 막힌 채 직접시행 확대라는 부담을 떠안은 LH는 사실상 ‘빈손 조직’이 되고 있다”며 “현장의 인력 기반이 흔들리면 결국 피해는 국민의 주거안정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LH를 공공주택 공급의 중심축으로 세우겠다면 인력과 재정부터 현실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