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추모 신경영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출처=연합]
이건희 회장 추모 신경영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출처=연합]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5주기 추도식이 24일 오전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가족 선영에서 엄수된다. 추도식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 가족이 참석할 예정이다.

또한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등 전·현직 경영진 150여명도 선영을 찾아 고인을 기린다. 이재용 회장은 추도식 후 관계사 사장단과 경기 용인시 소재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고 이건희 선대회장을 추모할 계획이다.

선대회장의 5주기를 맞아 고인이 남긴 'KH 유산'의 가치도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앞서 2021년 이재용 회장 등 유족들은 12조원이 넘는 상속세 부담에도 재산 매각 대신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대규모 사회 환원을 결정한 바 있다.

지난해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왼쪽)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치러진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4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연합]
지난해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왼쪽)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치러진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4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연합]

유족들은 선대회장이 평생 모은 문화재와 미술품 2만3000여점을 국가기관 등에 기증했다. 이는 국내 전례가 없는 최대 규모로, '이건희 컬렉션'은 대한민국 미술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보 14건, 보물 46건이 포함됐다. 고미술품 2만1600여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근대 작품 1600여점은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기증됐다.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및 순회전은 2021년부터 총 35회 열렸으며, 350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이 흥행에 힘입어 2022년 국립중앙박물관은 전 세계 박물관 관람객 수 '탑 5'에 오르기도 했다. '이건희 컬렉션'은 오는 11월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을 시작으로 시카고 미술관, 영국 대영박물관 등 해외 순회전을 통해 한국 미술의 가치를 세계에 알릴 예정이다.

고인의 유지는 의료공헌으로도 이어졌다. 유족은 감염병 극복 7000억원, 소아암·희귀질환 지원 3000억원 등 총 1조원을 기부했다. 특히 "어린이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은 우리의 사명"이라는 고인의 뜻을 받든 3000억원의 기부금은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출범의 밑거름이 됐다.

2030년까지 10년간 이어지는 이 장기 프로젝트에는 전국 160여개 기관, 1000여명의 의료진이 참여하고 있다. 사업단은 현재까지 86개 추진 과제를 진행했으며, 누적 환아 2만 2462명이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