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기업 체감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기업들은 여전히 경기 회복의 뚜렷한 신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28일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4.8로, 기준선 100을 밑돌며 3년 8개월 연속 부진을 이어갔다. 

10월 실적치는 91.1로 2022년 2월(91.5) 이후 3년 9개월째 기준선을 밑돈 상태다. 한경협은 "기업 전반의 심리가 여전히 위축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업종별로 제조업(96.8)과 비제조업(92.8) 모두 기준선 100을 밑돌았다. 제조업 BSI는 지난해 4월부터 1년 8개월 연속, 비제조업은 올해 8월 이후 4개월 연속 부진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경협은 "제조업은 전월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지만, 비제조업이 전월 대비 3.0포인트 하락하며 전체 기업심리 하락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제조업 10개 세부 업종 중에서는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20.0)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1)이 호조를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식음료 및 담배(100.0) △자동차‧선박 및 기타운송장비(100.0)를 제외하면 △의약품(75.0)을 비롯한 6개 업종은 모두 부진 전망을 기록했다.

비제조업 7개 세부 업종 중에서는 △정보통신(112.5)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06.7) △전기·가스·수도(105.3)가 양호했다. 반면 운수 및 창고(80.8) 등 나머지 4개 업종은 부진이 예상된다.

한경협은 "환율 급등으로 수입물가가 오르고, 소비심리 위축과 명절 특수 소멸이 비제조업 부진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10월 조사에서 내수(97.6), 수출(94.2), 투자(91.6) 등 전 부문이 부정적 전망을 보였다. 이 같은 전 부문 부진은 2024년 7월 이후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외환시장 변동성과 공급망 불안이 기업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원화가치 안정화, 공급망 다변화, 통상 리스크 해소를 통해 기업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