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 칩.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847_701590_35.png)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이 데이터센터용 인공지능(AI) 칩 시장 진출을 공식화하며 AI 가속기 시장의 경쟁 구도에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퀄컴은 2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AI 가속기 칩 ‘AI200’과 ‘AI250’을 각각 2026년, 2027년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엔비디아가 지배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용 AI 칩 시장에 본격 진입하겠다는 선언으로 풀이된다.
퀄컴은 이번 신제품이 기존 AI 가속기보다 △전력 소비 △총 소유 비용 △메모리 처리 방식에서 우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규모 AI 모델의 학습보다는 실행 과정에서 쓰이는 ‘추론용’ 칩 시장을 주 타깃으로 삼았다.
두르가 말라디 퀄컴 수석 부사장은 “자사의 소프트웨어 생태계는 개발자와 기업이 기존에 훈련된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AI 추론 솔루션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퀄컴은 그동안 무선통신 및 모바일 기기용 칩셋 분야에서 강점을 보여왔으나, 이번 발표를 계기로 고성능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게 됐다.
외신에 따르면 현재 AI 가속기 칩 시장은 엔비디아가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AMD가 오픈AI의 지원을 받으며 뒤를 쫓고 있다. 여기에 퀄컴까지 본격 진출을 선언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 기업들도 자체 AI 칩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 부문에 약 6조7000억 달러 규모의 자본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이 가운데 상당 비중이 AI 칩과 관련된 시스템에 집중될 것으로 분석했다.
AI 생태계의 확산 속에서 추론용 AI 칩이 차지하는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퀄컴의 신제품이 실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 확산…뉴욕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 미중 관세 갈등 속 퀄컴 '무신고 인수' 조사…中, 대미 압박 카드로 해석
- 퀄컴, 伊 아두이노 인수…로보틱스 강화 포석
- 美 원전 부활 시그널…구글, 넥스트에라 원전서 25년간 전력 구매
- AI 반도체 확산에 SiC 수요↑…와이엠씨, 리사이클링 기술로 대응
- 엔비디아, TSMC 최첨단 ‘A16’ 공정 첫 고객 유력…‘성숙 공정’ 전략 선회
- 오픈AI, 비영리재단 지휘 '공익법인' 전환…MS 지분 27% 확보
- AWS, 한국 AI 인프라에 7조원 통 큰 투자…"글로벌 AI 강국 도약 지원"
- 마이크로소프트, 2년 내 데이터센터 두 배 확대… AI 수요 폭발에 초대형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