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 [출처=연합 ]
이억원 금융위원장 [출처=연합 ]

“이 자리는 정책을 발표하는 자리가 아닙니다. 여러분과 제가 같은 흐름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2일 취임 두 달을 맞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융의 3대 대전환’을 앞세운 이같은 경제 전략을 제시했다. 그의 첫마디는 담담했지만, 목소리에는 단단한 결의가 묻어났다. 핵심은 '산업과 실물이 금융에 먹거리를 주고, 금융이 다시 산업의 성장을 밀어주는 선순환'이다.

그는 취임 두 달을 “100m 전력질주를 계속한 마라톤 주자”에 비유했다. 숨가쁜 일정 속에서도 금융의 세 축, 생산적 금융, 포용적 금융, 신뢰금융이 본격적으로 가동됐다는 자부심이 담겼다.

[출처=EBN ]
[출처=EBN ]

이 위원장은 “산업과 실물이 금융에 먹거리를 주고, 금융이 다시 산업의 성장을 밀어줘야 한국경제가 재도약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대전환 ‘생산적 금융’은 자금을 부동산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돌리는 구조개혁이다.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된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혁신기업, 벤처, 첨단산업에 투자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지방 우대금융을 강화해 2028년까지 정책금융의 지방 공급 비중을 4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산업과 실물이 금융에 먹거리를 주고, 금융이 다시 산업의 성장을 밀어줘야 한국경제가 재도약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대전환 ‘생산적 금융’은 자금을 부동산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돌리는 구조개혁이다. 150조 원 규모로 확대된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혁신기업, 벤처, 첨단산업에 투자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출처=EBN ]
[출처=EBN ]

“자금의 흐름을 바꾸는 게 핵심입니다. 수도권 중심의 돈이 지방으로, 단기 수익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가야 합니다.” 그는 지방 우대금융을 강화해 2028년까지 정책금융의 지방 공급 비중을 4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두 번째 축 ‘포용금융’은 사회적 약자를 다시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과제다. 이 위원장은 새출발기금 제도 개선, 성실상환자 신용사면, 장기연체채권 일괄소각 등 서민 회생정책을 직접 챙겼다. “채무를 탕감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경제활동을 시작할 기회를 드리는 것입니다.”

그는 또 금융소비자 간담회를 열어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고, “소비자 중심의 금융정책을 평가하는 외부위원회를 가동하겠다”며 실질적 체감 정책으로 옮겨가겠다고 밝혔다.

세 번째 축은 신뢰금융. 그는 금융의 기본은 위기 예방이라고 했다. 정부는 100조 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며,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출범해 불공정 거래를 신속히 차단하고 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이 산업에 숨 불어넣어야 한국경제 다시 뛴다”고 강조했다.  챗GPT 생성 이미지.[출처=오픈AI]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이 산업에 숨 불어넣어야 한국경제 다시 뛴다”고 강조했다. 챗GPT 생성 이미지.[출처=오픈AI]

이 위원장은 “가계부채, 부동산 PF, 취약산업 리스크를 상시 점검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100조 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며,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출범해 불공정 거래를 신속히 차단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위기는 예고 없이 오기 때문에 시스템이 먼저 움직여야 시장이 안심한다"고 역설했다. 

11월의 금융위는 숨 고를 틈이 없다. 첨단전략산업기금, 서민금융 확대, 청년미래적금 예산 등 국회 통과를 목표로 예산·입법 전선을 가다듬고 있다. 신용정보법, 서민금융법, 자본시장법 개정도 정기국회 내 통과를 추진 중이다.

그는 특히 스테이블코인 규율을 포함한 디지털자산 2단계 법안 준비를 '혁신과 안정의 균형을 잡는 과제'로 꼽았다. 

이 위원장은 "국제 기준에 맞추되, 한국 시장의 현실도 담아야 한다"면서 "언론과 제가 같은 페이지에 있기를 바라고 방향은 달라도 '이해'는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끝으로 책임과 속도, 혁신과 안정을 강조했다. 금융개혁의 엔진이 이미 시동 걸린 듯한 울림을 남겼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