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50~60대 소비자의 편의점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간 고물가 현상이 이어진 가운데 50~60대 1~2인 가구의 편의점 이용 비중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 상품 데이터 분석기관 마켓링크가 편의점 4사 1500개를 점포 대상으로 ‘2024 상반기 편의점 매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50대와 60대에서 각각 2022년 상반기보다 18.3%, 2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대와 40대 매출은 각각 4.9%, 4.8%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대 매출은 11.5% 줄었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옥경영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50~60대 1~2인 가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편의점에서 필요한 만큼만 소량 구매하는 패턴이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물가로 외식비 부담이 커진 가운데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한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편의점이 외식 수요를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올해 상반기 편의점 식사 대용식 매출은 2022년 상반기 대비 17.6% 증가했다.

대용식 종류별로는 라면(24.7%), 국·탕·찌개류(23.4%), 도시락·즉석밥류(21.6%) 등의 매출 증가율이 높았다. 올해 상반기 편의점 매출 중 약 20%를 차지한 주류 부문에선 양주와 전통주 매출이 각각 2년 전보다 18.4%, 13.6%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맥주와 소주 매출은 각각 3.9%,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은철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 팀장은 “국내 편의점 업체들이 해외 점포망 확대를 통해 K푸드뿐 아니라 K컬처, K리테일을 해외시장에 알리는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편의점 업체들이 해외시장에서 기회를 찾는 만큼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