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올랐다. 지난달 가을철 행락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운전대를 잡은 운전자들이 늘어난 결과다.
22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10월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대형 4개 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4개사 단순 평균) 85.2%로, 지난해 같은달(81.5%) 대비 3.7%포인트(p) 급증했다.
올해 들어 월별 손해율은 1월부터 전년 대비 1∼3%p 상승한 수준을 지속하다가 9월에 폭염에 폭우 영향으로 4.6%p 급등한 데 이어, 10월에도 4.0%p대에 가까운 오름세를 보였다.
보험사별로도 삼성화재(84.2%), 현대해상(85.8%), KB손해보험(87.8%), DB손해보험(82.9%)의 손해율이 80%대 중후반을 기록했다.
통상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가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진다. 대형사의 경우 82%로 본다.
4개사의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계 손해율 역시 81.5%로 지난해(78.6%) 대비 2.9% 올랐다.
손해율 급등은 10월 가을철 행락객 증가와 부품비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자동차 사고가 증가한 결과로 봤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자동차보험이 곧 적자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우려했다.
관련기사
- 보험사 판단기준 바뀐다…단기이익→'보험금 내줄 능력'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삼성생명, 3조~10조 삼성전자 지분 매각해 배당 확대"
- 이번에도 보험사 반대 있을까…보험판매전문회사 도입 위한 심포지엄 21일 개최
- 당국 "대주주 면담" 경고에 보험사 예외모형→원칙모형 선택 '백기'
- 생보사 해지율도 제각각…'낙관적 가정' 보험사 못 미덥다
- 무·저해지 해지율 낙관한 롯데·DB·현대 '우려' vs 삼성·메리츠 보수적 설계 '든든'
- 금감원 "보험사 실적 악화 감추고자 예외모형 악용 우려…내년 검사"
- 이복현, KB·우리금융에 "자회사 관리·보험사 인수 철저하라"
- 이복현, 베트남·홍콩·인니 방문…해외 IR·감독기구 수장 면담
- [e코멘터리] 윤석열의 사과, 이복현의 사과
-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당국 '원칙'보다 '예외'로 쏠린다
- [포토] 전국사무금융노조 MG손해보험지부 "메리츠 반대" 피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