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EBN
서울 강서구 공사현장, 기사와 무관.@EBN

건설업계가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가운데, 올해 부도를 낸 건설업체 수가 201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특히 지방 소재의 중소 건설사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10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부도를 신고한 국내 건설업체 수는 총 27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곳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연간 기준으로는 2019년(49곳) 이후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부도난 업체들은 주로 자금력과 경쟁력이 약한 지방 소재 중소기업들로 나타났다. 실제 서울(1곳)과 경기(3곳)를 제외하면 전체의 약 85%가 지방 업체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6곳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4곳), 경남(3곳) 등이 뒤를 이었다. 

연간 추이를 살펴보면, 부도 건설사는 지난 2019년 이후 감소세를 보여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업황 악화가 영향을 미치면서 다시 급증하고 있는 양상이다.

구체적으로 부도 업체 수는 2020년 24곳, 2021년에는 최저점인 12곳까지 줄었으나, 지난해부터 반등해 올해 다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종합건설사와 전문건설사의 피해 규모에도 차이가 있었다. 올해 부도를 낸 업체 중 종합건설사는 총 11곳이었으며, 나머지 16곳은 전문건설사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류는 시장 내 구조적 취약성과 자금 조달 능력의 차이를 반영한다.

내년 상황 역시 긍정적인 전망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3년 건설투자가 전년 대비 약 1.4% 감소했으며, 내년도에는 그 감소 폭이 더욱 확대돼 약 2.1%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토목 분야에서는 사회기반시설(SOC) 예산 축소와 공공공사 수주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간 공사의 경우 반도체 산업을 비롯해 설비투자 확대 지연이 지속되며 추가적인 어려움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금융권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형 지방 건설사의 연쇄적인 도산을 막기 위해서는 유동성 지원책과 더불어 SOC 투자 활성화를 통한 근본적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건설사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