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자가 주택 마련을 위해선 약 13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저축을 해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국토교통부의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에서 자가 주택을 마련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3년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가 13배로 집계돼서다. PIR은 소득 수준과 주택 가격 간의 격차를 측정하는 지표로, 월급을 전액 저축했을 때 집을 살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서울의 PIR는 전년도 15.2배에서 올해 13배로 낮아졌으나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비교해 세종시는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8.7배, 경기도는 7.4배, 대전은 7.1배였다.
반면 전남 지역은 단 3.1배로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 PIR은 지난해와 동일한 6.3배를 기록했으며, 수도권 평균은 지난해보다 감소한 8.5배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대출 규제·탄핵정국에 주택 시장 '꽁꽁'...전국 아파트값 6주 연속 하락
- 내년 공공 건설 공사 단가 3.9% 상승
- 서울시, 뉴:빌리지 선도사업지 4곳 선정
- [Constr. & Now] 대보건설, 수주액 1.6조 돌파...창사 이래 최대치 등
- [뷰파인더] ‘강북 최대어’ 한남4구역 주인공은…'한강뷰' 삼성 vs '예술성' 현대
- 정밀안전진단 통과…재시공 시동 거는 ‘광주 화정 아이파크’
- [Constr. & Now] HUG, 고3 학생 대상 찾아가는 부동산 기초교육 실시 등
- [Constr. & Now] 한화, 초록우산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협약 체결 등
- 생애 첫 주택 매수, 11년 만에 최고 기록
- 부실 시공 논란에…용인 '경남아너스빌디센트' 시공사 "불편 최소화"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