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이후 진정되는 듯 했던 '부도 공포'가 신동아건설 법정관리로 1년 만에 다시 재확산되는 분위기다. 신동아건설의 전체 부실 규모에 따른 금융권 익스포져(위험노출액) 등을 고려할 때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태영건설 보다 미미하지만, '위기'를 감지한 금융권이 건설사들에 대한 대출 빗장을 또 다시 걸어잠글 확률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유동성 관리에 고삐를 죄온 대형 건설사들은 여유가 있지만, 중소형 건설사의 자금난은 올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점쳐진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58위인 신동아건설이 지난 6일 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서울회생법원 회생3부는 신동아건설에 대해 보전처분과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행(行)은 2019년 11월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졸업한 지 5년 2개월 만이다. 

지난 1년 간 태영건설 워크아웃 충격파를 겨우 이겨낸 건설업계는 연초부터 터진 신동아건설 사태로 또 다시 '시름의 1년'을 보내게 됐다. 건설사들의 자금줄을 조였던 금융권이 올해 역시 대출 빗장을 걸어 잠글 확률이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권은 지난해부터 건설업 대출을 크게 줄이고 있다. 수주 감소로 대출 수요가 줄어든 탓도 있지만, 재무 건전성에 대한 우려로 건설사 대출을 조인 결과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건설업 운전자금 대출잔액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약 63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3분기 이후 60조원 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상승세는 확연히 꺾인 모습이다. 대출 잔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2022년 4분기 23.6%를 찍었다가 이후 곤두박질쳤다. 연이은 건설사 유동성 위기 사태로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지난해 3분기에는 0.6%까지 수직하강했다.

급한 자금 사정에 대출을 받아도 치솟은 대출 금리는 건설사들이 빚이 빚을 낳는 구조로 만들었다. 태영건설 사태 이후 시중은행의 PF대출 금리는 종전 연 3~4%에서 7~8%대로 올라섰다. 시장성 조달도 버거워지긴 마찬가지다.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연 4% 수준이던 3개월 물 전자단기사채는 현재 연 7%까지 올라선 상황이다.

이로 인해 올해 건설사들의 자금 경색은 더욱 짙어질 전망이다. 이 경우 가장 타격이 예상되는 곳은 중소형 건설사다. 대형 건설사들은 내다 팔 자산도 있고, 유사시 정부의 지원을 기대해볼 수 있다. 하지만 중소형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등의 모든 악재를 스스로 버텨야 한다. 

업계는 작년 보다 더 나빠진 자금 조달 환경으로 작은 건설사 위주의 부도나 법정관리가 올해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부도 난 건설업체는 모두 29곳으로 2019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부도 건설업체 수는 2021년 12곳, 2022년 14곳, 2023년 21곳, 2024년 29곳으로 4년 연속 증가했다. 부도 업체의 86%는 중소형 건설사다.

은행이 자금을 조이면 분양 성과라도 좋아야 버티는데 현재로선 이 마저도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형 건설사의 경우 수요가 있는 수도권 보다 미분양 사태가 극심한 지분양 위주로 분양 물량이 쏠려 있다보니 '흥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역시 지방 미분양 사태가 화근이 됐다. 

그동안 중소형 건설사들의 주택사업 부재를 메웠던 공공공사도 올해 사회기반시설(SOC) 예산 감소로 줄어든 가운데  대기업들의 설비투자마저 감소해 일감은 올해 더욱 바닥을 들어낼 거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 고질적인 불리한 경영 환경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건설사 대부분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신동아건설발(發)부도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중소형 건설사 자금 지원책이 빠르게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