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 건설사 최초 ‘D2D’ 자율주행 로봇배송 상용화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에 본격 나선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스타트업 ‘모빈(Mobinn)’과 공동 개발한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배송 서비스를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첫 적용하고, D2D(Door to Door) 로봇 배송 서비스의 공동주택 적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번 자율주행 D2D 로봇 배송 서비스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무선통신 및 관제시스템과 연동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까지 탑재돼 도로~지하 주차장~공동 출입문~엘리베이터~세대 현관까지 전 구간의 완벽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단독형 타운하우스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 입주민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친 데 이어, 올 초 현대엘리베이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한 서비스 상용화를 본격 선언했다.
특히 이번 업그레드된 기술에는 로봇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무인 자동 콜 기능뿐만 아니라 목적층 취소 상황 발생 시 재 호출할 수 있는 기능, 엘리베이터 정원 초과 범위 판단 기능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지능형 기술을 탑재했다.
이외에도 모빈이 개발한 자율주행 배송 로봇은 이동에 제약이 없는 기술을 적용해 택배나 음식 배달, 순찰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자체 개발한 특수 고무바퀴 구조는 계단 등 장애물 극복이 용이하고 적재함 수평 유지 기능을 탑재해 적재물의 안전성까지 확보했다.
또 3D 라이다와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주변 지형과 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휴 시간 순찰 모드 기능이 탑재돼 보행자 안전에 특화된 자율주행까지 가능하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미래 고객들에게 이동에 제약이 없는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는 고객 편의는 물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로봇 친화형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 기술 및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현대건설만의 차별화된 주거문화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동부건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 내달 중 분양
동부건설은 내달 중 울산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를 분양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는 울산시 남구 신정동 1151-1번지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4개동, 총 36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 가구는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로 구성된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84㎡A 101가구 ▲84㎡B 68가구 ▲84㎡C 131가구 ▲84㎡D 68가구다.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의 장점은 주거선호도가 좋다는 것이다.
특히 도보거리에 위치한 울산의 대표적인 명문초등학교 신정초등학교로 배정이 확정돼 아이들의 안심통학권을 확보하고 있으며, 반경 1km 내에는 학성중·고, 울산서여중, 울산여고, 신정고 등 명문 중·고교도 자리하고 있다.
또한 울산 최대 학원가인 옥동·신정동 학원가가 인접해 학령기 자녀들을 위한 우수한 면학분위기가 형성돼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분양 관계자는 "이 밖에도 단지 내에는 스크린골프가 포함된 실내골프연습장, 피트니스, GX룸, 공유오피스 등 차별화된 고품격 커뮤니티도 다채롭게 마련해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할 예정"이라며 "울산의 명문학군 권역에 조성되는 새 아파트라는 점에서 벌써부터 기대감이 크게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이를 부응할 수 있는 랜드마크를 선보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내달부터 무주택자만 '줍줍' 가능해진다
- [Constr. & Now] KCC건설, 부산서 연탄 나눔 봉사 진행 등
- 제일건설 부도로 협력업체 200억원 피해액 발생
- [Constr. & Now] SM그룹 우오현 회장, 세브란스병원에 연구∙발전기금 1억원 기부 등
- "설 황금연휴, 설캉스 어때요"…리솜리조트, 설 이벤트 풍성
- 공사대금 170억 못받은 DL건설, 결국 공사 중지...앞날도 '안갯속'
- 1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2년 만에 최저치
- 두산건설, 작년 수주액 4조1684억원…역대 최대 기록
- 디비로보틱스·SK, 전문로봇 시장 진출 박차 '맞손'
- 건설경기 침체 속 도정사업 수주 경쟁은 ‘불꽃’
- [Constr. & Now]"안전이 최우선"..대우건설, 2025 안전혁신정책 시행
- 3년차 ‘好실적’ 리더 조재천…현대엘리 ‘성장 가속화’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