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트럼프 행정부 공식 출범을 맞아 21일 무역협회에서 1차관, 통상교섭본부장, 관계부처, 경제단체, 주요 업종별 협회·연구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 신행정부 출범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주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일(미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사 및 행정명령 등을 통해 발표한 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부와 업계간 실시간 정보 공유와 공동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측이 발표한 '미국 우선 통상정책 행정명령(America First Trade Policy)'에 따른 무역적자 조사, 무역협정 검토 등 통상조치와 전기차 우대조치 철폐·에너지 정책 변화 등 우리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조치별 대책을 중점 논의했다.

특히 미국이 무역적자 문제를 이유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고, 기존 무역협정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는 철저한 데이터 분석과 논리적 대응 논거를 준비할 방침이다.

또 미국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간 대화 채널을 활성화하고,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에도 공을 들일 전망이다.

안 장관은 "정부는 미측 조치 배경과 세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을 포함한 실무대표단을 미국에 급파했으며 미측과 소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우리에게 우려요인 뿐 아니라 기회요인도 있는 만큼 민관이 긴밀히 협의하여 총력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향후 미측이 발표할 행정조치가 우리 기업의 수출과 글로벌 공급망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 정부가 업계 입장을 적극 대변해 미측과 협의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민간 차원에서도 미국 현지 네트워크를 총 가동해 아웃리치를 전개하고 정보를 공유하겠다고 전했다.

산업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민관이 협력해 미국의 새로운 통상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 정책발표에 대비해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철저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